^*^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출미( 米, 찰기장쌀)

한들 약초방 2016. 3. 1. 11:11

  

 출미( 米, 찰기장쌀)

 

 

性微寒(一云平)味甘無毒利大腸療漆瘡殺瘡疥毒熱壅五藏氣動風不可常食《本草》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대장을 순조롭게 하고 옻이 올라 헌 것[漆瘡]을 치료하며 옴독과 열을 없앤다. 그러나 5장의 기운을 막히게 하고 풍(風)을 동(動)하게 하기 때문에 늘 먹어서는 안 된다[본초].

 

仙家重此作酒最勝餘米《本草》

도교를 믿는 사람들은 이것을 귀하게 여기면서 술을 만드는 데는 다른 쌀보다 좋다고 한다[본초].

 

此人以作酒及煮糖者《本草》

사람들은 이것으로 술과 엿을 만든다[본초].

 

似黍米而粒小北人謂之黃米亦謂黃姎釀酒最佳《本草》

기장(黍米)과 비슷하나 알이 잘다. 북쪽 지방 사람들은 이것을 보고 황미(黃米)라고도 하고 황나(黃 )라고도 하는데 술을 만드는 데는 제일 좋은 것이다[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