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해독방풍탕(解毒防風湯)

한들 약초방 2016. 4. 17. 09:40

 해독방풍탕(解毒防風湯)

 

출처 ; 의학정전(醫學正傳)(1515년) 

편명 ;   반진(班疹)

 

구성약재

방풍(防風): 5.625 g.           우방자(牛蒡子): 2.813 g. 볶는다.

작약(芍藥): 2.813 g.           지각(枳殼): 2.813 g.

지골피(地骨皮): 2.813 g.    형개수(荊芥穗): 2.813 g.

황기(黃芪): 2.813 g.

 

조제용법 ; 위의 약을 잘게 잘라 매번 물 두잔을 한잔이 되게 끓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온복(溫服)한다.

 

주치병증

발반(發斑)

국소적으로 피부색의 변화가 있으며, 병변 부위가 주위 조직 보다 도드라지거나 함몰되지 않은 것.

이병 ; 반(斑)

양방병증 ; 두드러기

 

양통(痒痛)

피부가 가렵고 아픈 증상

양방병증 ; 통증; 가려움증

 

은진(癮疹)

두드러기. 피부가 갑자기 가려우며 편평하게 약간씩 도드라져 올라오는 병증. 풍소(風瘙), 풍소은진(風搔隱疹), 풍은진(風癮疹), 풍진괴(風疹塊), 배뢰(㾦癗)라고도 한다. 속에 습열(濕熱)이 막힌데다 또 풍한(風寒)을 받아 살갗과 살결에 뭉쳐 일어나거나 일부 물질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켜 생기기도 한다.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제49권에서 "풍(風)이 주리(腠理)에 들어가 기혈(氣血)과 서로 엉겨 뭉쳐서 은진(隱疹)이 된다.(風入腠理. 與氣血相搏, 結聚起相連成隱疹.)"라고 하였다.

이명 ; 풍소(風瘙), 풍소은진(風搔隱疹), 풍은진(風癮疹), 풍진괴(風疹塊), 배뢰(㾦癗)

양방병증 ; 두드러기; 기타 두드러기; 접촉 두드러기; 특발성 두드러기; 자극성 접촉피부염; 상세불명의 두드러기; 알레르기성 두드러기; 상세불명의 접촉피부염;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피부표기증성 두드러기; 한랭 및 열에 의한 두드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