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들 약초방
2016. 5. 24. 11:01
♣작약탕(芍藥湯) ♣
출처 ;
편명 ;
구성약재
감초(甘草) 5 푼, 계심(桂心) 5 푼, 당귀(當歸) 1 전,
대황(大黃) 7 푼, 목향(木香) 5 푼, 백작약(白芍藥) 2 전,
빈랑(檳榔) 5 푼, 조금(條芩) 1 전, 황련(黃連) 1 전
조제용법 ; 달여 먹음
효능 ; 청열이습(淸熱利濕)
주치병증
농혈리(膿血痢)
일반 이질 증상에 피곱똥이 비교적 많은 이질. 적열(積熱)이 대장(大腸)에 몰려 혈이 고름으로 바뀌어 발생함. 상부혈(上部血)이면 흉중(胸中)이 번조(煩躁)하고, 먼저 곱똥이 나온 후 피가 나옴. 중부혈(中部血)이면 맥이 침(沈)하고, 오한이 나고, 혹은 허리와 배꼽 밑이 아픔. 하부혈(下部血)이면 맥이 침하고, 오한이 나고, 먼저 피가 나온 후 곱똥이 나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