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들 약초방 2016. 6. 5. 18:02

 다조산(茶調散)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십(卷第十) 두통(頭痛)

 

내용 ; 두풍(頭風)과 두통(頭痛)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37.5 g.

강활(羌活): 37.5 g.

박하(薄荷): 150 g. 가지를 제거하고 불은 쓰지 않는다.

방풍(防風): 18.75 g. 노(蘆)를 제거한다.

백지(白芷): 37.5 g.

세신(細辛): 18.75 g. 노(蘆)를 제거한다.

천궁(川芎): 75 g.

형개(荊芥): 75 g. 가지를 제거한다.

 

조제용법 ; 약재분말을 한번에 7.5g을 취하여 총백(蔥白), 차청(茶淸)과 함께 먹는다.

 

효능 ; 청상두목(淸爽頭目)

 

주치병증

지체번동(肢體煩疼)

팔다리와 몸이 번열(煩熱)이 나면서 아픈 병증

 

두목혼중(頭目昏重)

머리와 눈이 어지럽고 무거운 것.

 

제풍상공(諸風上功)

풍사(風邪)가 상부로 침입하는 모든 경우.

 

편정두동(偏正頭疼)

편두통(偏頭痛)과 정두통(正頭痛)을 합한 말

 

비색성중(鼻塞聲重)

콧속(鼻腔)이 막혀 숨쉬기가 곤란한 병증으로 목소리가 낮고 둔탁한 것.

 

상풍장열(傷風壯熱)

풍사(風邪)가 표(表)를 침입함으로써 발생하는 외감급성병(外感急性病)으로 오래도록 열이 나는 것.

 

격열담성(隔熱痰盛)

흉격에 열이 있어서 담(痰)이 성한 것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권제십(券第十) 두통(頭痛)

 

내용 ; 두풍(頭風)과 두통(頭痛)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37.5 g.

강활(羌活): 37.5 g.

박하(薄荷): 150 g. 가지를 제거하고 불은 쓰지 않는다.

방풍(防風): 18.75 g. 노두(蘆頭)를 제거한다.

백지(白芷): 37.5 g.

세신(細辛): 18.75 g. 노두(蘆頭)를 제거한다.

천궁(川芎): 75 g.

형개(荊芥): 75 g. 가지를 제거한다.

 

조제용법 ; 가루 낸 것을 매번 7.5g을 총백다(葱白茶)로 복용한다.

 

주치병증

지체번동(肢體煩疼)

팔다리와 몸이 번열(煩熱)이 나면서 아픈 병증

 

두목혼중(頭目昏重)

머리와 눈이 어지럽고 무거운 것.

 

제풍상공(諸風上功)

풍사(風邪)가 상부로 침입하는 모든 경우.

 

편정두동(偏正頭疼)

편두통(偏頭痛)과 정두통(正頭痛)을 합한 말

 

비색성중(鼻塞聲重)

콧속(鼻腔)이 막혀 숨쉬기가 곤란한 병증으로 목소리가 낮고 둔탁한 것.

 

상풍장열(傷風壯熱)

풍사(風邪)가 표(表)를 침입함으로써 발생하는 외감급성병(外感急性病)으로 오래도록 열이 나는 것.

 

격열담성(隔熱痰盛)

흉격에 열이 있어서 담(痰)이 성한 것

 

감풍기(感風氣)

풍사(風邪)를 감수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