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난향음자(蘭香飮子)

한들 약초방 2015. 12. 31. 10:05

 난향음자(蘭香飮子)

 

治消渴善食而瘦二便結數石膏三錢知母一錢半生甘草防風各一錢炙甘草人參蘭香葉連翹白豆桔梗升麻各五分半夏二分右爲末蒸餠糊調成餠乾爲末每二錢淡薑湯調下《入門》

 

소갈로 음식은 먹으면서도 여위고 대변이 굳으며 오줌이 잦은 것을 치료한다.

석고 12g, 지모 6g, 감초(생것), 방풍 각각 4g, 감초(닦은 ), 인삼, 난향잎, 연교, 백두구, 도라지(길경), 승마 각각 2g, 끼무릇(반하) 0.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증병( )으로 풀에 반죽한 다음 떡을 만들어 햇볕에 말려 가루낸다. 한번에 8g 생강을 연하게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입문(入門)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육(卷六) 소갈(消渴)

 

내용 ; 소갈(消渴)병에 음식을 잘 먹으나 몸이 여위고 대소변이 잦은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볶는다.

감초(甘草): 3.75 g. 생 것.

길경(桔梗): 1.875 g.

난향초(蘭香草): 1.875 g. 잎

반하(半夏): 0.75 g.

방풍(防風): 3.75 g.

백두구(白豆蔲): 1.875 g.

석고(石膏): 11.25 g.

승마(升麻): 1.875 g.

연교(連翹): 1.875 g.

인삼(人蔘): 1.875 g.

지모(知母): 5.62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증병(蒸餠)으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떡을 만들어 햇볕에 말려 가루낸다. 한번에 7.5g씩 생강을 연하게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주치병증 

소갈(消渴)

다음(多飮),다식(多食), 다뇨(多尿)하며 소변이 단 병증. 소갈(痟渴)이라고도 쓰고 소단(消癉)이라고도 한다. [소문(素問)] <기병론(奇病論)>에 나옴. (1) 다음(多飮), 다식(多食), 다뇨(多尿)가 특징인 병증. 대부분 기름지고 단 음식물을 과식하거나 음식에 대한 무절제, 또는 정지실상(情志失常), 노일실도(勞逸失度)로 인한 장부조열(臟腑燥熱)로 음허화왕(陰虛火旺)하게 되어 나타난다. 주로 자음(磁陰), 윤조(潤燥), 강화(降火)로써 치료하며, 병기(病機)와 증상, 병세 발전의 차이에 따라 상소(上消), 중소(中消), 하소(下消)의 3가지로 구분한다. [증치회보(證治滙補)] <소갈장(消渴章)>에 "상소(上消)는 심(心) 때문이다. 많이 마시고 적게 먹으며 대변은 평소 때나 다름없되 소변은 양이 많으면서 자주 마렵다. 중소(中消)는 비(脾) 때문이다. 목이 잘 마르고 배가 잘 고프며 잘 먹는데도 마르고 소변이 붉으면서 대변이 막힌다. 하소(下消)는 신(腎) 때문이다. 정(精)이 말라 수(髓)가 고갈되니 물을 마셔 스스로 구하고자 하나 마시는 즉시 소변으로 나오는데 소변이 마치 기름처럼 뿌옇다.(上消者, 心也. 多飮少食, 大便如常, 溺多而頻. 中消者, 脾也. 善渴善飢, 能食而瘦, 溺赤便閉. 下消者, 腎也. 精枯髓竭. 引水自救, 隨卽溺下, 稠濁如膏.)"고 하였다. 이 증은 당뇨병, 요붕증(尿崩證)에서 나타날 수 있다. (2) 다음(多飮), 다뇨(多尿), 요첨(尿甛; 소변의 맛이 단 증상)이 특징인 병증. [외대비요(外臺秘要)] 제11권 <소중소갈신소방(消中消渴腎消方)>에서 "목이 말라 물을 많이 마시니 소변을 자주 보는데 소변이 기름기가 없으면서 밀기울 떡처럼 단 것이 소갈병(消渴病)이다.(渴而飮水多, 小便數, 無脂似麩片甛者. 皆是消渴病也.)"라고 하였다. 이 증은 현대의 당뇨병과 같다. (3) 구갈(口渴)을 말함. [상한론(傷寒論)] <변태양병맥증병치(辨太陽病脈證幷治)>에서 "태양병(太陽病)을 발한(發汗)한 후에…… 만약 맥(脈)이 부(浮)하고, 소변불리(小便不利)하며, 미열(微熱)이 있고, 소갈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오령산(五苓散)으로 치료한다.(太陽病, 發汗後, ……若脈浮, 小便不利, 微熱, 消渴者, 五苓散主之)"라고 하였다. (4) 소갈병(消渴病)의 일종. 목이 마르면서 소변량이 적은 것이 주된 증상이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제53권에 "소갈(痟渴)은 목이 마름에도 불구하고 소변을 보지 못하는 것이다.(夫痟渴者, 爲雖渴而不小便也.)"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요붕증; 다음다갈증; 혼수를 동반; 눈 합병증을 동반; 상세불명의 당뇨병; 인슐린-의존 당뇨병; 인슐린-비의존 당뇨병; 신경학적 합병증을 동반; 영양실조와 관련된 당뇨병; 기타 명시된 합병증을 동반; 말초순환장애 합병증을 동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