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들 약초방 2016. 1. 26. 10:31

 주징( )

 

 

一人病心痛此人好酒初飮二三盃必奔走三五十次其酒稍散方復飮至前量至明朝嘔靑黃水數口夜變魚腥臭六七日始安戴人(張子和也)以藥吐之乃吐一條靑黃色長六七寸口目鼻俱全狀如蛇乾以視人乃酒也《綱目》  

 

어떤 사람이 가슴앓이[心痛] 있으나 술을 좋아하였다. 그는 처음에 술을 2-3 마시고는 반드시 30-50 달아다니다가[奔走] 술기운이 퍼지면 먼저 양만큼 마시었다. 그리고 다음날 아침에는 퍼러면서 누런 물을 몇번 토했는데 사이에 변해서 고기비린내가 났다. 이것은 6-7일이 지나서야 없어졌다. 이때에 대인(戴人, 張子和) 약으로 토하게 하니 벌레 한마리가 나왔는데 빛이 퍼러면서 누렇고 길이가 6-7 되며 입과 눈과 같은 것이 있어서 모양이 같았다. 이것을 소금에 절여 말려서 사람들에게 보이니 주징( )이라고 하였다[강목].

 

一男自幼喜飮酒日飮一二斗無酒呼不絶全不進食日就瘦弱家中設策令人用手巾縛住手足却取生酒一於口邊打開其酒氣衝入口中病者必欲就飮堅不與之須臾口中忽吐物一塊直下中以物覆猛火燒滾約乾一半却開取之其物如猪肝狀約三兩重周回有小孔如針眼不可數計棄之於江自後雖滴酒不能飮矣《得效》

남자가 어릴 때부터 술먹기를 좋아 하였는데 하루 2 -5되씩 먹었다. 그는 술만 없으면 계속 소리를 지르면서 전혀 음식을 먹지 않아 날로 여위었다. 그리하여 집안에서 가지 대책을 생각하였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았다. 사람을 시켜 사람의 손발을 수건으로 단단히 동여매도록 다음 한병을 그의 입가까이에 대고 마개를 열어놓아 술기운이 찌르듯이 입으로 들어가게 하였다. 그러자 그는 술을 마시겠다고 애를 썼다. 그러나 끝끝내 주지 않았다. 그런데 조금 있다가 갑자기 무슨 덩어리를 토했는데 그것이 바로 술단지 속으로 들어갔다. 그리하여 즉시 병마개를 막고 불에 술이 절반 정도 줄도록 끓여서 열어보니 돼지간 같은 것이있었는데 무게가 120g정도 되고 둘레에 바늘귀같은 작은 구멍이 수없이 있었다. 그것을 강물에 버렸는데 다음부터 술을 한방울도 먹지 않았다[득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