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난궁종사환(煖宮 斯丸)

한들 약초방 2016. 1. 29. 10:23

 

 난궁종사환(煖宮 斯丸)

 

 

婦人無子者服之厚朴一兩二錢半吳茱萸白茯石菖蒲白附子桂心人參沒藥各一兩細辛乳香當歸酒浸牛膝酒洗各七錢半右爲末蜜丸小豆大酒下一二十丸壬子日修合  

임신하지 못하는 부인이 먹는다.

후박 50g, 오수유, 흰솔풍령(백복령), 백급, 가위톱(백렴), 석창포, 노랑돌쩌귀(백부자), 계심, 인삼, 몰약 각각 40g, 족두리풀(세신), 유향, 당귀(술에 담갔다 ), 쇠무릎(우슬, 술로 씻은 ) 각각 3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술로 먹는다.

 

一名壬子丸《集

일명 임자환(壬子丸)이라고도 한다[집략].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집략(集略)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卷十) 부인(婦人)

 

내용 ; 부인이 임신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계심(桂心): 37.5 g.

당귀(當歸): 28.125 g. 술에 담근다.

몰약(沒藥): 37.5 g.

백급(白芨): 37.5 g.

백렴(白薟): 37.5 g.

백복령(白茯苓): 37.5 g.

백부자(白附子): 37.5 g.

석창포(石菖蒲): 37.5 g.

세신(細辛): 28.125 g.

오수유(吳茱萸): 37.5 g.

우슬(牛膝): 28.125 g. 술로 씻는다.

유향(乳香): 28.125 g.

인삼(人蔘): 37.5 g.

후박(厚朴): 46.8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술로 먹는다.

 

주치병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