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백자부귀환(百子附歸丸)

한들 약초방 2016. 1. 29. 10:24

 

 백자부귀환(百子附歸丸)

 

 

久服有孕及治月水參差不調四製香附末十二兩(製法見胞門)川芎白芍藥當歸熟地黃阿膠珠陳艾葉各二兩右爲末用石榴一枚連皮搗碎煎水打糊和丸梧子大每百丸空心醋湯下《廣嗣》  

오랫동안 먹으면 임신이 된다. 그리고 월경이 고르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4가지 방법으로 법제하여 가루를 , 법제하는 방법은 포문에 있다) 460g,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당귀, 찐지황(숙지황), 아교주, 묵은 약쑥(陳艾)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석류 1(껍질째로 짓찧는다) 달인 물로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식초를 두고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광사].

 

一名百子建中丸無石榴一味終始忌鐵《廣嗣》

일명 백자건중환(百子建中丸)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에는 석류 가지가 없다. 알약을 만들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쇠그릇을 쓰지 말아야 한다[광사].

 

===================================================================================

출처 ; 동의방제와 처방해설(東醫方劑와 處方解說)광사(廣嗣)

편명 ; 사물탕(四物湯)

 

내용 ; 오랫동안 먹으면 임신이 되고, 월경이 고르지 못한 곳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당귀(當歸): 75 g.

백작약(白芍藥): 75 g.

숙지황(熟地黃): 75 g.

진애엽(陳艾葉): 75 g.

천궁(川芎): 75 g.

향부(香附): 450 g. 향부말을 4번 포제한다.

아교주(阿膠珠): 75 g.

 

조제용법 ; 가루내어 석류 1매와 연피(連皮)를 절구로 찧어서 물에 달여 반죽하여 오동나무씨 만한 알약을 만든다. 백알을 빈속에 초(醋)탕과 함께 복용한다.

 

주치병증

불임증(不姙症)

불잉(不孕)."임신하지 못하는 것.

 

월수부조(月水不調)

월경불순(月經不順), 월경병의 통칭. 전신 또는 성기의 이상으로 인해 생김. 월경선기(月經先期), 월경후기(月經後期), 월경선후무정기, 월경과다, 월경과소, 경폐(經閉), 붕루(崩漏), 경행토뉵(經行吐衄), 경행변혈(經行便血), 월경통 등 월경주기와 월경량의 이상, 월경 때 수반되는 여러 병증을 말함.

이명 ; 월경부조(月經不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