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보환(內補丸)
♣내보환(內補丸) ♣
◈治衝任怴虛補血安胎熟地黃二兩當歸一兩微炒右爲末蜜丸梧子大空心溫酒下五七十丸《本事》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이 허한 것을 치료하는데 혈을 보하고 태를 편안하게 한다. 찐지황(숙지황) 80g, 당귀(약간 닦은 것)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본사].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본사(本事)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卷十) 부인(婦人)
내용 ; 임신부가 충임맥(衝任脉)이 허(虛)한 경우 혈(血)을 보해서 안태(安胎)시키는 처방임
구성약재 당귀(當歸): 37.5 g. 약간 볶는다. 숙지황(熟地黃): 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오동나무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
효능 ; 보혈안태(補血安胎)
주치병증 충임손상(衝任損傷) 방실노상(房室勞傷), 감염 및 출산 과다로 충임맥(衝任脈)을 손상한 데서 발생되는 병증. 충맥은 혈해(血海)이며, 임맥은 포태(胞胎)를 주재하는데 간(肝), 신(腎), 기(氣), 혈(血)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두 맥이 손상되면 월경불순, 소복동통(小腹疼痛), 요산(腰痠), 붕루(崩漏), 습관성 유산, 불임증이 발생한다
맥허약(脈虛弱) 맥(脈)이 허약(虛弱)한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