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폐는 숨찬 것을 주관한다[肺主喘]

한들 약초방 2016. 2. 8. 12:46

 

 폐는 숨찬 것을 주관한다[肺主喘]

 

 

實則悶亂喘促有飮水者有不飮水者  

() ()하면 속이 답답하여 날치며 숨이 몹시 하는데 물을 마시기도 하고 마시지 않기도 한다.

 

肺主燥自病則喘嗽實則喘而氣盛或渴宜瀉白散(方見五藏)

폐는 () 것을 주관하는데 자체가 병들면 숨차 하고 기침한다. 실하면 숨차서 몹시 가빠하고 목이 마르기도 한다. 이때에는 사백산(瀉白散) (사백산瀉白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 쓴다.

 

虛則氣長出氣短

폐가 허하면 목이 메어 숨을 길게 내쉬며 숨결이 밭다.

 

肺病悶亂氣長出氣短虛則脣白色喘而少氣先服益黃散後用阿膠散(二方見五藏)  

폐에 병이 생기면 가슴이 답답하여 어쩔 바를 모르며 목이 메어 숨을 길게 내쉬고 숨결이 밭다. 폐가 허하면 입술이 하얗게 되고 숨이 차며 기운이 적다. 이런 때에는 익황산(益黃散)   먹이고 나서 아교산(阿膠散) (아교산阿膠散, 가지 처방은 5장문에 있다) 쓴다.

 

肺藏怯則脣白色當補肺阿膠散主之若悶亂氣喘促氣者難治肺虛損故也

폐장이 허약하면 입술이 하얗게 되는데 반드시 폐를 보하는 아교산(阿膠散) 쓴다. 만일 속이 답답하여 어쩔 바를 몰라 하면서 숨결이 거칠고 몹시 하며 목이 메어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면 치료하기 어렵다. 이것은 폐가 허손되었기 때문이다.

 

脾肺病久則虛而脣白脾者肺之母也母者皆虛不能相營故曰怯此以脣診肺之法也脣白色者肺藏怯也《錢乙》

() () 병이 생긴 오래되면 영양해 주지 못하므로 허약해지는 것이다. 이것은 입술을 보고 폐를 진찰하는 방법이다. 입술이 [白色] 폐장이 허약한 것이다[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