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풍환(截風丸)
♣절풍환(截風丸) ♣
◈治驚風痰紩天麻白召蠶南星礐各二錢蜈蚣一條白附子防風朱砂全蝎各一錢麝香一字右爲末蜜丸梧子大每一丸薄荷湯化下《入門》
◈경풍과 담으로 경련이 이는 것을 치료한다. 천마, 백강잠, 천남성(싸서 구운 것) 각각 8g, 왕지네(오공) 1개, 노랑돌쩌귀(백부자), 방풍, 주사, 전갈 각각 4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입문].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편주의학입문외집3권(編註醫學入門外集卷三) -소아문 상(小兒門 上) -태독류(胎毒類)-급경(急驚)
내용 ; 경풍(驚風)과 담(痰)으로 인한 경련(痙攣)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남성(南星): 7.5 g. 방풍(防風): 3.75 g. 백강잠(白殭蠶): 7.5 g. 백부자(白附子): 3.75 g. 사향(麝香): 소량. 오공(蜈蚣): 1 조(條). 전갈(全蝎): 3.75 g. 주사(朱砂): 3.75 g. 천마(天麻): 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꿀로 볶아서 오자대 크기로 환을 만들어 1환씩 박하탕과 함께 먹는다(爲末 蜜丸梧子大 每一丸 薄荷煎湯 化下)
주치병증 경풍(驚風) 소아에게 흔히 나타나는 질병의 하나. 경궐(驚厥)이라고도 함. 휵(搐), 익(搦), 철(掣), 전(顫), 반(反), 인(引), 찬(竄), 시(視)의 8증(證)이 주요한 특징이다. 양방병증 ; 영아경련
담(痰) (1) 인체의 기혈이 순조롭게 운행되지 않아서 장부의 진액이 일정 부위에 몰려 걸쭉하고 탁하게 된 것. 일련의 질병 때 병적으로 생기며, 병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함. (2) 가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