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성환(至聖丸)
♣지성환(至聖丸) ♣
◈治冷疳木香厚朴使君子陳皮肉豆埼各二錢丁香丁香皮各一錢右爲末神麴糊和丸麻子大米飮下七丸至十丸十五丸《入門》
◈냉감을 치료한다. 목향, 후박, 사군자, 귤껍질(陳皮), 육두구 각각 8g, 정향, 정향피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약누룩(신국)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10-15알씩 미음으로 먹인다[입문].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입문(入門)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일(卷十一) 소아(小兒)
내용 ; 냉(冷)으로 인한 감질(疳疾)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목향(木香): 7.5 g. 사군자(使君子): 7.5 g. 육두구(肉豆蔲): 7.5 g. 정향(丁香): 3.75 g. 정향피(丁香皮): 3.75 g. 진피(陳皮): 7.5 g. 후박(厚朴): 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신국을 넣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 10, 15알씩 미음으로 먹인다.
주치병증 냉감(冷疳) 감(疳)으로 내장이 허랭(虛冷)한 증상. [증치준승(證治準繩)] <유과(幼科)>에서 "냉감병(冷疳病)은 대부분 내부에 원인이 있는데, 설리(泄利)하며 색깔이 평소와 같지 않고 청백색(靑白色)의 거품이 있고, 지체(肢體)가 연약하며, 눈은 붓고 얼굴색은 검게 변한다. 또 하나의 증상으로는 조급하고 갈증(渴症)이 있으면서 땅바닥에 누워 버리는데 마치 열상(熱狀)과 비슷하나, 다만 음식을 잘 먹지 못하고 활설(滑泄)이 계속되니 이것 또한 냉감(冷疳)이다.(冷疳病多在內, 利色無常, 其沫淸白, 肢軆軟弱, 目腫面黧. 又一證 躁渴臥地, 似有熱狀, 惟飮食不進, 滑泄無度, 亦冷疳也.)"라고 하였다. 이명 ; 수랭감(廋冷疳) 양방병증 ; 내부 냉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