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우황탈명산(牛黃奪命散)

한들 약초방 2016. 2. 12. 11:11

 

 우황탈명산(牛黃奪命散)

 

 

治小兒肺脹胸滿喘氣急兩脇扇動兩鼻竅張痰涎潮塞悶亂喘喝死在朝夕白丑半生半熟黑丑半生半熟取頭末各五錢大黃一兩檳二錢半木香一錢半右爲末入輕粉一字和勻每取一錢或二錢蜜水調下微利爲度《丹心》  

어린이가 폐가 창만하여 가슴이 그득하며 숨이 차서 양쪽 갈비가 들먹거리며 양쪽 콧날개가 벌름거리고 담연이 끓으면서 막히고 속이 답답하여 견딜 없으며 목이 막혀서 죽게 것을 치료한다.

나팔꽃흰씨(백축, 절반은 생것, 절반은 익힌 ), 나팔꽃검은씨(흑축, 절반은 , 절반은 익힌 ), 맏물가루 각각 20g, 대황 40g, 빈랑 10g, 목향 6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경분 1g 고루 섞어서 한번에 4-8g 꿀물에 먹이되 약간 설사날 때까지 먹인다[단심].

 

一名一捻金《醫鑑》

일명 일념금(一捻金)이라고도 한다[의감].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단심(丹心)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일(卷十一) 소아(小兒)

 

내용 ; 어린이가 폐(肺)가 창만(脹滿)하여 가슴이 그득하고 숨이 차서 양쪽 갈비가 들썩이며, 양쪽 콧구멍이 벌름거리고, 담연(痰涎)이 끓으면서 막히고 속이 답답하여 견딜 수 없고 목이 막혀서 곧 죽게 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대황(大黃): 37.5 g.

목향(木香): 5.625 g.

백축(白丑): 18.75 g.

빈랑(檳榔): 9.375 g.

흑축(黑丑): 18.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경분 1g과 고루 섞어서 한번에 4-8g씩 꿀물에 타 먹이되 약간 설사날 때까지 먹인다.

 

효능 ; 어린이가 폐가 창만하여 가슴이 그득하며 숨이 차서 양쪽 갈비가 들먹거리며 양쪽 콧날개가 벌름거리고 담연이 끓으면서 막히고 속이 답답하여 견딜 수 없으며 목이 막혀서 곧 죽게 된 것을 치료한다

 

주치병증

기급(氣急)

호흡곤란, 호흡촉박.

 

번갈(煩渴)

가슴에 열감(熱感)이 있으면서 입 안이 마르고 갈증이 나는 병증. 외감(外感)이나 내상(內傷)으로 진액(津液)이 손상되고 열(熱)이 울체되어 발생한다. [상한론(傷寒論)] <변태양병맥증병치(辨太陽病脈證幷治)>에서 "땀을 냈는데도 맥이 부삭(浮數)하면서 번갈(煩渴)하는 사람은 오령산(五苓散)으로 치료한다.(發汗已, 脈浮數, 煩渴者, 五苓散主之)"

양방병증 ; 갈증

 

폐창(肺脹)

창병(脹病)의 하나. 폐천해(肺喘咳)라고도 함. [금궤요략(金匱要略)] <폐위폐옹해수상기병맥증치(肺痿肺癰咳嗽上氣病脈證治)>에서 "기침을 하면서 상기되는 것이 폐창(肺脹)이다. 환자가 숨이 가쁘고 눈이 빠질 것 같으며 맥이 부대(浮大)하면 월비가반하탕(越婢加半夏湯)으로 치료한다.(咳而上氣, 此爲肺脹, 其人喘, 目如脫狀, 脈浮大者, 越婢加半夏湯主之.)" "폐창으로 기침이 나면서 상기(上氣)되고 번조(煩躁)하면서 숨이 가쁘고 맥이 부(浮)한 경우는 가슴 아래에 수(水)가 있는 것이므로 소청룡가석고탕(小靑龍加石膏湯)으로 치료한다.(肺脹, 咳而上氣, 煩躁而喘, 脈浮者, 心下有水, 小靑龍如石膏湯主之.)"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천식; 폐기종; 폐부종; 그렁거림; 쌕쌕거림; 호흡곤란; 주기성 호흡; 기관지확장증; 천식지속 상태; 급성 세기관지염;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 성인성 호흡곤란 증후군; 기타 만성 폐쇄성 폐질환; 상세불명의 호흡기능상실; 폐렴사슬알균에 의한 폐렴; 달리 분류되지 않은 세균성 폐렴;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의한 폐렴; 달리 분류되지 않은 바이러스성 폐렴; 바이러스가 확인되지 않은 인플루엔자; 확인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인플루엔자;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감염성 병원체에 의한 폐렴

 

흉만(胸滿)

가슴이 그득하고 답답한 감이 있는 병증. 비(脾)가 쇠약하고 간화(肝火)가 성(盛)해 비를 눌러서 일어남. 표실무한(表實無汗), 흉만(胸滿)해서 기천(氣喘)하는 것은 풍한(風寒)에 의한 흉만(胸滿)이다. 이실변삽(裏實便澁), 흉만번열(胸滿煩熱)하면 열옹(熱壅)에 의한다. 면목부종(面目浮腫), 흉만(胸滿), 평와(平臥) 안 되는 것은 정음(停飮)에 의한다. 호흡곤란(呼吸困難), 흉만(胸滿)하고, 태식(太息)하는 것은 기체(氣滯)에 의한다.

이명 ; 흉격창만(胸膈脹滿), 흉비(胸痞), 흉중비만(胸中痞滿)

 

민란(悶亂)

가슴이 답답하면서 불안한 병증.

 

담연옹색(痰涎壅塞)

담연(痰涎)이 가슴에 몰린 것.

이명 ; 담연옹성(痰涎壅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