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사와 이질[泄痢]
♣설사와 이질[泄痢] ♣
◈小兒疳痢瀉靑白黃沫水痢色變易無常 ◈어린이의 감리(疳痢)는 푸르고 희며 누른 거품 물을 싸고 똥빛이 자주 변한다.
◈疳卽槂瀉槂卽脹也其證目胞腫腹脹痢色無常好飮水漸加瘦瘠 ◈감질은 창만하면서 설사하는 것인데 그 증상은 눈두덩이 붓고 배가 창만하여 똥빛이 자주 변하고 물을 많이 켜며 점점 여위어 가는 것이다.
◈赤痢宜黃芩芍藥湯虛滑宜固腸丸(二方拄見大便) ◈적리(積痢)에는 황금작약탕(黃芩芍藥湯) 을 쓰는 것이 좋고 허해서 설사하는 데는 고장환(固腸丸) (두 가지 처방은 다 대변문에 있다)이 좋다.
◈白痢宜益元散(方見暑門)溫六丸(方見大便) ◈백리(白痢)에는 익원산(益元散) (처방은 서문에 있다), 온육환(溫六丸)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赤白痢宜黃連阿膠元六神丸(二方拄見大便) ◈적백리(赤白痢)에는 황련아교원(黃連阿膠元) 육신환(六神丸) (두가지 처방은 다 대변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疳痢腹痛宜蘇感元(方見大便) ◈八痢危證一曰赤痢二曰白痢三曰赤白痢四曰食積痢五曰驚痢六曰脾虛痢七曰時行痢八曰疳痢通宜小駐車元眞人養藏湯(二方拄見大便)《類聚》 ◈감리로 배가 아픈 데는 소감원(蘇感元)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8가지 이질에서 위태로운 증은 첫째는 적리(積痢)이고, 둘째는 백리(白痢)이며, 셋째는 적백리(赤白痢)이고, 넷째는 식적리(食積痢)이며, 다섯째는 경리(驚痢)이고, 여섯째는 비허리(脾虛痢)이며, 일곱째는 시행리(時行痢)이고, 여덟째는 감리(疳痢)인데 모두 소주거원(小駐車元) 진인양장탕(眞人養臟湯) (두 가지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을 쓴다[유취].
◈小兒痢穀道不閉黃汁長流者不治《得效》 ◈어린이의 이질에 항문이 오므라지지 않고 누런 물이 계속 흐르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