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비전희두탕(秘傳稀痘湯)

한들 약초방 2016. 2. 13. 10:24

 비전희두탕(秘傳稀痘湯)

 

 

六月上伏日採葫蘆嫩蔓數十根陰乾遇正月初一日五更勿令人知將葫蘆蔓安鍋內燒湯一盆洗未出痘小孩兒渾身頭面上下無處不洗到方可此後卽不出痘《唐人秘傳》

 

음력 6 상복일에 호로파의 연한 뿌리를 수십 캐어 그늘에 말려 두었다가 음력 정월 초에 그릇에 넣고 끓인다. 마마를 앓지 않은 어린이를 씻어 주되 온몸을 씻어 주면 그후부터 마마에 걸리지 않는다(어떤 사람이 비방으로 전한 것이다).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당인비전(唐人秘傳)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일(卷十一) 소아(小兒)

 

내용 ; 두창(痘瘡) 즉, 천연두를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호로(葫蘆): 10 조각(片). 여린 덩굴

 

조제용법 ; 음력 6월 상복일에 호로파의 연한 뿌리를 수십 개 캐어 그늘에 말려 두었다가 음력 정월 초에 그릇에 넣고 끓인다. 마마를 앓지 않은 어린이를 씻어 주되 온몸을 다 씻어 주면 그후부터 마마에 걸리지 않는다(어떤 사람이 비방으로 전한 것이다).

 

주치병증

창진(瘡疹)

(1) 창양(瘡瘍). (2) 두창(痘瘡)을 말함. [동의보감(東醫寶鑑)] <잡병편(雜病篇)> 제11권에서 "창진(瘡疹)의 증상은 얼굴이 건조하고 뺨과 눈두덩이 붉으며 하품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잠시 추웠다 열이 나고 기침하며 재채기를 하고 발끝이 차며 밤에 자다가 놀라서 가슴이 뛰며 잠이 많다.(瘡疹候者, 面燥腮赤, 目胞亦赤, 呵欠煩悶, 乍凉乍熱, 咳嗽噴嚔, 足梢冷, 夜臥驚悸, 多睡.)"라고 하였다

이명 ; 창양(瘡瘍), 두창(痘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