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연교승마탕(連翹升麻湯)

한들 약초방 2016. 2. 14. 09:17

 

 연교승마탕(連翹升麻湯)

 

 

治瘡疹一發便密如蠶種或如糠粃毒盛者卽升麻葛根湯(方見寒門)加連翹一味也《正傳》

 

구슬이 돋는 것이 몹시 배서[便密] 누에알 같거나 쌀겨 같으며 독이 심한 것을 치료한다.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연교 가지를 넣은 것이다[정전].

 

===================================================================================

출처 ; 의학정전(醫學正傳)(1515년)

편명 ; 소아과 두진(小兒科 痘疹)

 

구성약재

갈근(葛根): 7.5 g.

감초(甘草): 3.75 g.

백작약(白芍藥): 3.75 g.

생강(生薑): 3 g.

승마(升麻): 3.75 g.

연교(連翹): 0.375 g.

총(蔥): 2 g.

 

조제용법 ;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에 연교(連翹) 1푼을 넣는다.

 

주치병증

두진(痘疹)

(1) 두창(痘瘡), 수두(水痘) 때 피부에 돋는 구슬 진(疹). (2) 두창이나 마진(麻疹)이 포함된 발진성 질병.

양방병증 ; 종기증

 

삼양병(三陽病)

태양병(太陽病), 양명병(陽明病), 소양병(少陽病)의 총칭. [의술(醫述)] <양경분경부(陽經分經腑)>에서 ‘삼양병이 경(經)에 있으면 땀을 내면 된다.(三陽病在經者, 可汗而已.)’, ‘삼양병이 부(腑)로 들어가면 내려보내면 된다.(三陽病入腑者, 可下而已.)’라고 하였다.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정전(正傳)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일(卷十一) 소아(小兒)

 

구성약재

연교(連翹):

 

조제용법 ;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에다 연교를 넣는다.

 

효능 ; 구슬이 돋는 것이 몹시 배서[便密] 누에알 같거나 쌀겨 같으며 독이 심한 것을 치료한다

 

주치병증

창진(瘡疹)

(1) 창양(瘡瘍). (2) 두창(痘瘡)을 말함. [동의보감(東醫寶鑑)] <잡병편(雜病篇)> 제11권에서 "창진(瘡疹)의 증상은 얼굴이 건조하고 뺨과 눈두덩이 붉으며 하품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잠시 추웠다 열이 나고 기침하며 재채기를 하고 발끝이 차며 밤에 자다가 놀라서 가슴이 뛰며 잠이 많다.(瘡疹候者, 面燥腮赤, 目胞亦赤, 呵欠煩悶, 乍凉乍熱, 咳嗽噴嚔, 足梢冷, 夜臥驚悸, 多睡.)"라고 하였다

이명 ; 창양(瘡瘍), 두창(痘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