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산(異功散)
♣이공산(異功散) ♣
◈治痘櫏之際頭溫足冷腹脹渴瀉如寒戰咬牙腹脹足冷過膝者用此救之木香當歸各三分半桂皮白朮白茯巔各三分陳皮厚朴人參肉豆埼氖丁香各二分半附子礐半夏各一分半右犫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 ◈구슬에 딱지가 앉을 때에 머리는 덥고 발은 차며 배가 불러 오르고 갈증이 나며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만일 추워 떨며 이를 갈고 배가 불러 오르고 발에서 무릎 위까지 시리면 이 약을 쓴다. 목향, 당귀 각각 1.4g, 계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1.2g, 귤껍질(陳皮), 후박, 인삼,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정향 각각 1g, 부자(싸서 구운 것), 끼무릇(반하) 각각 0.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
◈此等證亦多屬熱不可不察有熱則不可用《綱目》 ◈이러한 증상들은 또한 열증에 속한 것도 많으므로 자세히 살펴야 한다. 열증이 있으면 쓰지 말아야 한다[강목].
=============================================================================== 출처 ;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편명 ; 신집팔권(辛集八卷)
구성약재 감초(甘草): 굽는다. 백복령(白茯苓): 껍질을 제거한다. 백출(白朮): 노(盧)를 제거하고 볶는다. 인삼(人蔘): 진피(陳皮):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생강, 대추(棗)와 함께 끓여서 먹는다.
주치병증 소아제병(小兒諸病) 소아에게 발생하는 뭇 병증을 아울러 이르는 말.
비위허손(脾胃虛損) 비위(脾胃)가 허손(虛損)된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