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엽(倒 ) ♣
◈痘形陷伏倒櫏者自其內傷氣虛而不能起發謂之陷伏當溫中托裏宜內托散保元湯(二方見上)自其外感及觸穢而言謂之倒櫏當溫散寒邪宜調解散若觸穢則抗穢散(方見上)熏解之 ◈구슬의 모양이 함복(陷伏)과 도엽(倒 )이 되는 때가 있다. 내상(內傷)으로 기가 허하여 잘 내돋지 못하는 것을 함복이라고 한다. 이때는 반드시 속을 덮게 하고 탁리(托裏)해야 하는데 내탁산(內托散) 보원탕(保元湯) (保元湯, 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고 풍한(風寒)을 받았거나 더러운 기운에 오염되어 구슬에 딱지가 잘 앉지 않는 것을 도엽이라고 한다. 이때는 한사를 덥게 하여 흩어지게 해야 하는데 조해산(調解散)이 좋다. 만약 더러운 기운에 오염되었으면 벽예산( 穢散) ( 穢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태워 연기를 쏘인다.
◈當出不出當脹不脹當貫不貫當櫏不櫏勻謂之陷伏倒櫏 ◈반드시 내돋아야 할 때 돋지 않고 고름이 잡혀야 할 때 고름이 잡히지 않으며 딱지가 앉아야 할 때 딱지가 앉지 않는 것들은 함복, 도엽이라고 한다.
◈痘出或爲風冷所折致水硬宜調解散《入門》 ◈구슬이 내돋을 때 혹 풍한에 상한 탓으로 구슬이 뜬뜬해지면 조해산(調解散)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痘白色將櫏時如豆殼者因初起時飮水多其櫏不齊俗呼爲倒櫏但服實表之劑宜保元湯(方見上)《丹心》 ◈구슬이 희고 딱지가 앉으려 할 때 그것이 콩깍지와 같은 것은 구슬이 처음 돋을 때에 물을 많이 마셨기 때문에 딱지가 일제히 앉지 못하는 것이다. 이것을 민간에서 도엽이라고 한다. 다만 표(表)를 실하게 하는 약을 먹어야 하는데 이때는 보원탕(保元湯)(保元湯, 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다[단심].
◈痘出不快及倒櫏宜四聖散加味四聖散(二方見上)《錢氏》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않는 것과 도엽이 된 데는 사성산(四聖散) 가미사성산(加味四聖散) ( 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다[전씨].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양탕(水楊湯) (0) | 2016.02.14 |
---|---|
조해산(調解散) (0) | 2016.02.14 |
유장법(油醬法) (0) | 2016.02.14 |
밀조환(蜜 丸) (0) | 2016.02.14 |
당귀환(當歸丸) (0) | 2016.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