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
◈痘疹愈而再發或氣虛稟弱坐臥振搖者宜用保元湯(方見上) ◈마마가 나았다가 도지거나 타고난 체질이 약한 탓으로 앉으나 누우나 몸이 떨리는 데는 보원탕(保元湯) (保元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愈後忽遍身靑黑口夝紩媛此氣虛感風宜用消風散(方見頭部) ◈마마가 나은 뒤에 갑자기 온몸이 검푸르고 이를 악물며 경련이 일어나는 것은 기가 허한 데다 풍에 상한 것이므로 소풍산(消風散) (消風散, 처방은 머리부(頭部)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愈後非時發紩目方面赤乃心熱挾痰宜用抱龍丸(方見上)《入門》 ◈마마가 나은 뒤에 갑자기 경련이 일고 눈을 치뜨며 얼굴이 붉은 것은 심(心)에 열이 있는 데다 담을 겸한 것이므로 포룡환(抱龍丸) (抱龍丸,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愈後餘瘡塞鼻中不得睡臥宜用木筆花散《得效》 ◈마마가 나은 뒤에 남은 열로 코 안이 헐고 코가 메어 누워 자지 못하는 데는 목필화산(木筆花散) 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痘愈後心痛不可忍此餘毒歸心急服乳香散《丹心》 ◈마마가 나은 뒤에 가슴이 아파서 견딜 수 없는 것은 여독이 심(心)에 들어간 것이다. 빨리 유향산(乳香散) 을 먹여야 한다[단심].
◈痘愈後失音宜用天花散《正傳》 ◈마마가 나은 뒤에 목이 쉰 데는 천화산(天花散) 을 쓰는 것이 좋다[정전].
◈痘愈後餘毒成走馬疳牙厇腐爛宜付琟牙散 ◈마마가 나은 뒤에 여독으로 주마감아(走馬疳牙)가 되어 잇몸이 짓무른 데는 다아산( 牙散) 을 바르는 것이 좋다.
◈痘愈後咽喉腫痛宜服七味甘桔湯《醫鑑》 ◈마마가 나은 뒤에 목구멍이 붓고 아픈 데는 칠미감길탕(七味甘桔湯) 을 먹이는 것이 좋다[의감].
◈痘餘毒肝虛則入眼目肺虛則爲疥癬或爲癰癤而發在骨節腎之虛也發在肌肉脾之虛也或在筋或在頭或在面或牙齒疳蝕或咽喉腫痛宜服鮮毒藥消毒飮三豆飮之類(二方見上)《海藏》 ◈마마의 여독으로 간(肝)이 허하면 그것이 눈에 들어가고 폐(肺)가 허하면 옴이 된다. 혹 옹절(癰癤)이 뼈마디에 생긴 것은 신(腎)이 허한 것이고 살에 생긴 것은 비(脾)가 허한 것이다. 힘줄이나 머리 혹은 얼굴에 생겼거나 이가 삭았거나 목구멍이 부어 아픈 데는 독을 푸는 약인 소독음(消毒飮) 삼두음(三豆飮) (三豆飮, 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 등을 먹이는 것이 좋다[해장].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향산(乳香散) (0) | 2016.02.15 |
---|---|
목필화산(木筆花散) (0) | 2016.02.15 |
희두탕(稀痘湯) (0) | 2016.02.15 |
가막조개물[ 子水] (0) | 2016.02.15 |
멸반산(滅瘢散) (0) | 2016.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