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동의보감 잡병편~소아(小兒)

한들 약초방 2016. 2. 16. 09:59

                   동의보감 잡병편~소아(小兒)

어린이병은 치료하기 어렵다[小兒病難治]

5장 6부가 생기는 것[臟腑生成]㈜

갓난아이의 태독을 풀어 주는 법[初生解毒法]

갓난아이를 목욕시키는 방법[初生洗浴法]

갓난아이의 탯줄을 끊는 방법[初生斷臍法]

유모를 고르는 법[擇乳母法]

어린이에게 젖을 먹이는 법[小兒乳哺法]

어린이를 보호하는 법[小兒保護法]

어린이를 기르는 10가지 방법[養子十法]

조리하고 보호하는 데 대한 노래[調護歌]

변증의 증후[變蒸候]

어린이의 계병과 기병[小兒繼病 病]

용담탕(龍膽湯)

어린이를 보고 명이 길고 짧은 것을 아는 법[相兒命長短法]㈜

호구 3관의 맥을 보는 법[虎口三關脈法]

삼관에 관한 그림[三關圖]

어린이의 맥을 보는 법[診小兒脈法]

얼굴의 모양과 빛을 보는 그림[觀形察色圖]

얼굴에 나타나는 빛을 보고 병증을 아는 데 대한 노래

5체에서는 머리가 제일이고 얼굴에는 오직 생기가 있어야 한다

목소리에는 가는 것과 탁한 것이 있고 울 때에도 눈물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갓난아이의 구급법[小兒初生救急]/소아

금구증, 촬구증, 제풍증[ 口撮口臍風證]

촬구증[撮口]

제풍증[臍風]

배꼽이 붓거나 허는 것을 치료하는 법[臍腫臍瘡治法]

보명산(保命散)

주반산(朱礬散)

일념금산(一捻金散)

갈초산(蝎梢散)

선풍산(宣風散)

조기익황산(調氣益黃散)

금오산(金烏散)

통심음(通心飮)

백묵산(栢墨散)

오통고(五通膏)

향라고(香螺膏)

객오와 중악[客 中惡]

웅사산(雄麝散)

황토산(黃土散)

벽사고( 邪膏)

밤에 우는 증[夜啼]

육신산(六神散)

저유고(猪乳膏)

진경산(鎭驚散)

등심산(燈心散)

황련음(黃連飮)

선화산(蟬花散)

5장이 주관하는 허증과 실증[五臟所主虛實證]

심은 놀라는 것을 주관한다[心主驚]

간은 풍을 주관한다[肝主風]

비는 곤한 것을 주관한다[脾主困]

폐는 숨찬 것을 주관한다[肺主喘]

신은 허한 것을 주관한다[腎主虛]

5장이 서로 억누르는 것[五臟相乘]

경풍증(驚風證)

경풍에 먼저 나타나는 증[驚風先見之證

경풍에 4증과 8후가 있다[驚有四證八候]

경풍은 대개 열로 허실을 구분하고 증상을 역증과 순증으로 가르며 치료는 나중에 할 것과 먼저 할 것이 있다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驚 之證有五]

휵닉, 계종이 경하고 중한 것[ 輕重]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일면서 소리를 지르는 것과 지르지 않는 것이 있다[驚 有聲無聲]

경풍으로 경련이 발작할 때에는 꽉 잡아서는 안된다[驚風發 不可把捉]

태경과 간풍[胎驚癎風]

진사고(辰砂膏)

태을산(太乙散)

급경풍(急驚風)

이경환(利驚丸)

온경환(溫驚丸)

양경환(凉驚丸)

사청환(瀉靑丸)

대청고(大靑膏)

개관산(開關散)

체경산( 驚散)

구풍고(驅風膏)

진심환(鎭心丸)

진간환(鎭肝丸)

전씨안신환(錢氏安神丸)

진경환(鎭驚丸)

보유화풍단(保幼化風丹)

영신고(靈神膏)

포룡환(抱龍丸)

절풍환(截風丸)

금박진심환(金箔鎭心丸)

영심고(寧心膏)

방풍온담탕(防風溫膽湯)

대경원(大驚元)

소경원(小驚元)

급경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急驚風不治證]

만경풍(慢驚風)

백출산(白朮散)

익황산(益黃散)

황기탕(黃 湯)

온백환(溫白丸)

가미출부탕(加味朮附湯)

성비산(醒脾散)

양유방(釀乳方)

팔선산(八仙散)

오갈산(烏蝎散)

선갈산(蟬蝎散)

신효산(神效散)

관음산(觀音散)

전갈관음산(全蝎觀音散)

삼미천장자산(三味天漿子散)

보비탕(補脾湯)

보생단(保生丹)

연생단(延生丹)

삼출반하탕(蔘朮半夏湯)

방풍원(防風元)

은백산(銀白散)

남성음(南星飮)

쌍금환(雙金丸)

경풍을 치료한 경험[驚風治驗]

만성 경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慢驚風不治證]

급경풍과 만경풍을 두루 치료하는 약[急慢驚風通治]

비급환(備急丸)

우황포룡환(牛黃抱龍丸)

보명단(保命丹)

천금산(千金散)

성향산(星香散)

주분산(朱粉散)

탈명산(奪命散)

탐생산(探生散)

지성보명단(至聖保命丹)

만비풍(慢脾風)

흑부탕(黑附湯)

생부사군자탕(生附四君子湯)

갈부산(蝎附散)

보비익진탕(補脾益眞湯)

만비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慢脾風不治證]

천조경풍(天弔驚風)

구룡공연산(九龍控涎散)

조등산(釣藤散)

조등고(釣藤膏)

치경( 痙)

전간(癲癎)/소아

정백환(定魄丸)

침향천마탕(沈香天麻湯)

자상환(紫霜丸)

삼간단(三癎丹)

감병(疳病)

5장감(五臟疳)

오감보동원(五疳保童元)

감적병(疳積餠)

연담환(連膽丸)

소감환(消疳丸)

여러 가지 감병[諸疳]

열감(熱疳)

냉감(冷疳)

냉열감(冷熱疳)

회감(蛔疳)

뇌감(腦疳)

척감(脊疳)

주마감(走馬疳)

무고감(無辜疳)

정해감(丁奚疳)

포로감(哺露疳)

감갈(疳渴)

감로(疳勞)

감사(疳瀉)

감리(疳痢)

감종(疳腫)

감창(疳瘡)

호황련환(胡黃連丸)

오복화독단(五福化毒丹)

용담원(龍膽元)

지성환(至聖丸)

목향환(木香丸)

사군자환(使君子丸)

여성환(如聖丸)

하충환(下蟲丸)

용담환(龍膽丸)

노회환(蘆 丸)

노성고(露星膏)

유향환(乳香丸)

입효산(立效散)

동청산(銅靑散)

요백산(尿白散)

월섬환(月蟾丸)

십전단(十全丹)

이련환(二連丸)

포대환(布袋丸)

갈환자(褐丸子)

화닉환(化 丸)

옥섬산(玉蟾散)

저두황련환(猪 黃連丸)

목향원(木香元)

감창을 씻는 약[洗疳瘡藥]

여러 가지 감병을 두루 치료하는 약[諸疳通治藥]

비아환(肥兒丸)

오감소식원(五疳消食元)

십미노회환(十味蘆 丸)

감안(疳眼)

자간환(煮肝丸)

용담음자(龍膽飮子)

치료되지 않는 여러 가지 감병[諸疳不治證]

여러 가지 열[諸熱]

간열(肝熱)/소아

심열(心熱)/소아

비열(脾熱)/소아

폐열(肺熱)/소아

신열(腎熱)/소아

조열(潮熱)/소아

태열(胎熱)/소아

골증열(骨蒸熱)/소아

담열(痰熱)/소아

학열( 熱)/소아

풍한열(風寒熱)/소아

장열(壯熱)/소아

실열(實熱)/소아

허열(虛熱)/소아

한수석산(寒水石散)

감로음(甘露飮)

이장음(梨漿飮)

생지황탕(生地黃湯)

양유방(釀乳方)

생서산(生犀散)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

지골피산(地骨皮散)

소아청심환(小兒淸心丸)

천을환(天乙丸)

적과 벽[積癖]

진식환(進食丸)

소식환(消食丸)

칠성환(七聖丸)

후장환(厚腸丸)

백병자(白餠子)

육미삼릉환(六味三稜丸)

광출화벽환(廣朮化癖丸)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화벽여신산(化癖如神散)

청위양비탕(淸胃養脾湯)

흙 먹기를 즐겨 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治喫泥方]

토하고 설사하는 것[吐瀉]

옥로산(玉露散)

주사환(朱砂丸)

주침전(朱沈煎)

향귤병(香橘餠)

화중산(和中散)

반속산(半粟散)

모과환(木瓜丸)

소침환(燒鍼丸)

화위환(和胃丸)

조위고(助胃膏)

토하고 설사하는 증에 대한 이론[吐瀉論證]

풍한에 감촉된 것[感冒風寒]

웅황고(雄黃膏)

성성산(惺惺散)

담연으로 숨이 차 하고 기침하는 것[痰涎喘嗽]

마비풍산(馬脾風散)

우황탈명산(牛黃奪命散)

설사와 이질[泄痢]

한 가지 처방

배가 아프고 불러 오르는 것[腹痛腹脹]

유향산(乳香散)

소식산(消食散)

소적환(消積丸)

안충산(安蟲散)

탑기환( 氣丸)

5연과 5경[五軟五硬]

건골산(健骨散)

생근산(生筋散)

의이환(薏苡丸)

녹용사근환(鹿茸四斤丸)

숫구멍이 아물지 않는 것[解 ]

삼신산(三辛散)

천남성산(天南星散)

신전과 신함[ 塡 陷]

말을 늦게 하고 걸음발을 늦게 타는 것[語遲行遲]

창포환(菖蒲丸)

계두환( 頭丸)

호골환(虎骨丸)

오가피산(五加皮散)

조원산(調元散)

머리털이 나지 않고 이가 나오지 않는 것[髮不生齒不生]

종용원( 蓉元)

궁황산(芎黃散)

구배와 구흉[龜背龜胸]

송예단(松蘂丹)

지각환(枳殼丸)

백합단(百合丹)

체이(滯 )

목향반하환(木香半夏丸)

온비단(溫脾丹)

단독(丹毒)/소아

발독산(拔毒散)

빙황산(氷黃散)

이금고(泥金膏)

여러 가지 헌데[諸瘡]

우황산(牛黃散)

대연교음(大連翹飮)

생료사물탕(生料四物湯)

홍사류(紅絲瘤)

약독으로 임병이 되는 것[藥毒成淋]

젖을 떼는 법[斷乳]

화미고(畵眉膏)

어린이가 여러 가지 병으로 죽는 증[小兒諸病死證]

두, 반, 진 3가지 증은 주로 태독이 원인으로 된다[痘 疹三證專由胎毒]

마마를 쉽게 앓게 하는 처방[稀痘方]

주사를 먹이는 법[服朱砂法]

연생제일방(延生第一方)

희두토홍환(稀痘兎紅丸)

척예토두탕(滌穢兎痘湯)

독성단(獨聖丹)

백수산(百壽散)

매화꽃을 먹는 법[服梅花方]

비전희두탕(秘傳稀痘湯)

마마를 예방하는 법[痘瘡預防法]

삼두음(三豆飮)

유음자(油飮子)

용봉고(龍鳳膏)

마마를 진찰하는 법[辨痘證]

마마도 유행성 전염병의 하나이다[痘瘡亦時氣之一端]

마마에는 5가지 증이 있다[痘有五般證]

마마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마마를 앓는 기간[痘瘡日限]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열이 날 때 좋은 증과 나쁜 증[發熱時吉凶證]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

홍면산(紅綿散)

가미육일산(加味六一散)

신해탕(神解湯)

사물해기탕(四物解肌湯)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구슬이 내돋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出痘時吉凶證]

소독음(消毒飮)

화독탕(化毒湯)

서각소독음(犀角消毒飮)

해독방풍탕(解毒防風湯)

투기탕(透肌湯)

사성산(四聖散)

가미사성산(加味四聖散)

쾌반산(快 散)

자초음(紫草飮)

사과탕(絲瓜湯)

연교승마탕(連翹升麻湯)

서점자탕(鼠粘子湯)

화피음자(樺皮飮子)

호유주(胡 酒)

한 가지 처방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내탁산(內托散)

자초고(紫草膏)

또 한 가지 처방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收 三朝]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收 時吉凶證]

감로회천음(甘露回天飮)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보원탕(保元湯)

독을 푸는 것[解毒]

가미서각소독음(加味犀角消毒飮)

신공산(神功散)

흑산자(黑散子)

마마 때의 좋고 나쁜 증을 가리는 법[辨痘吉凶]

마마 때 경증과 중증, 순증과 역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輕重順逆]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마마 때의 허증과 실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虛實]

마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辨痘陰陽證]

보호하는 법[保護]

음식(飮食)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꺼릴 것[禁忌]/소아

목욕시키는 법[浴法]

수양탕(水楊湯)

방예하는 법[禳法]/소아

벽예산(穢散)

재소산(再甦散)

마마 때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음성[聲音]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소아

여성음(如聖飮)

허리와 배가 아픈 것[腰腹痛]

수념산(手捻散)

선퇴탕(蟬退湯)

경휵(驚 )

가감홍면산(加減紅綿散)

구토(嘔吐)

정중탕(定中湯)

설사(泄瀉)

이공산(異功散)

목향산(木香散)

육두구환(肉豆 丸)

고진탕(固眞湯)

담천(痰喘)/소아

인삼청격산(人蔘淸膈散)

전호지각탕(前胡枳殼湯)

번갈(煩渴)

홍화자탕(紅花子湯)

오매탕(烏梅湯)

감초탕(甘草湯)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저절로 땀이 나는 것[自汗]

가렵고 아픈 것[痒痛]

소활혈산(小活血散)

백화고(百花膏)

반란(斑爛)

패초산(敗草散)

초담고(硝膽膏)

백룡산(白龍散)

진도산(甄陶散)

추워서 떠는 것[寒戰]

이를 가는 것[咬牙]

피를 많이 흘리는 것[失血]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尿澁]

인삼선태산(人蔘蟬 散)

자초목통탕(紫草木通湯)

변비(便秘)

당귀환(當歸丸)

밀조환(蜜 丸)

유장법(油醬法)

도엽(倒 )

조해산(調解散)

수양탕(水楊湯)

흑함(黑陷)

저미고(猪尾膏)

사치산(四齒散)

백상환(百祥丸)

조변백상환(棗變百祥丸)

선풍산(宣風散)

가미선풍산(加味宣風散)

회생산(回生散)

용뇌고자(龍腦膏子)

독성산(獨聖散)

무비산(無比散)

사분산(四糞散)

이각음(二角飮)

주천산(周天散)

마황탕(麻黃湯)

또 한 가지 처방

눈을 보호하는 것[護眼]

황백고(黃栢膏)

연지고( 脂膏)

한 가지 처방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멸반산(滅瘢散)

가막조개물[ 子水]

희두탕(稀痘湯)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목필화산(木筆花散)

유향산(乳香散)

천화산(天花散)

다아산( 牙散)

칠미감길탕(七味甘桔湯)

마마를 앓은 뒤의 여러 가지 병[痘後諸疾]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 膜]

밀몽화산(密蒙花散)

통성산(通聖散)

선저산(蟬猪散)

지황산(地黃散)

이선산(二仙散)

결명원(決明元)

선국산(蟬菊散)

강국산(羌菊散)

통명산(通明散)

취운산(吹雲散)

토시탕(兎屎湯)

사피음(四皮飮)

눈에 약을 넣는 법[點法]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소독탕(消毒湯)

염기산(斂肌散)

금화산(金華散)

서각화독단(犀角化毒丹)

웅황산(雄黃散)

면견산(綿繭散)

필승고(必勝膏)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이질[痘後痢疾]

해백탕( 白湯)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附孕婦痘瘡]

조태산( 胎散)

안태산(安胎散)

반과 진을 덧붙임[附 疹]

소갈탕(蘇葛湯)

총백탕( 白湯)

갈근맥문동산(葛根麥門冬散)

침뜸치료[鍼灸法]/소아

                              단        방

백반(白礬)

복룡간(伏龍肝)

호분(胡粉)

납설수(臘雪水)

염초(焰硝)

지룡즙(地龍汁, 지렁이즙)

남엽즙(藍葉汁, 쪽잎즙)

황련(黃連)

포황(蒲黃, 부들꽃가루)

산장(酸漿, 꽈리)

왕과(王瓜)

사군자(使君子)

천남성(天南星)

변축( 蓄, 마디풀)

저근(苧根, 모시뿌리)

오가피(五加皮, 오갈피)

죽엽(竹葉, 참대잎)

유서(柳絮, 버들개지)

구뇨(龜尿)

즉어( 魚, 붕어)

노봉방(露蜂房)

별(鱉, 자라)

해(蟹, 게)

선각(蟬殼, 매미허물)

제조( , 굼벵이)

오적어골(烏賊魚骨, 오징어뼈)

백강잠(白 蠶)

와우(蝸牛, 달팽이)

섬서(蟾 , 두꺼비)

모서육(牡鼠肉, 숫쥐고기)

웅서분(雄鼠糞)

소하(小鰕, 작은 새우)

사태(蛇 , 뱀허물)

지주(蜘蛛, 거미)

구인( 蚓, 지렁이)

오공(蜈蚣, 왕지네)

수질(水蛭, 거머리)

작옹(雀瓮, 쐐기벌레집)

와(蛙, 개구리)

벽전(壁錢, 납거미)

율모각(栗毛殼, 밤송이)

포도(蒲萄)

건시(乾枾, 곶감)

이(梨, 배)

지마(脂麻, 참깨)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요실(蓼實, 여뀌씨)

동과인(冬瓜仁, 동아씨)

박하(薄荷)

마치현(馬齒 , 쇠비름)

개자(芥子, 겨자)

계장초( 腸草)

수근(水芹, 미나리)

인과갑(人瓜甲)

난발회(亂髮灰)

계자(鷄子, 달걀)

백압(白鴨, 흰오리)

아모(鵝毛, 거위털)

야명사(夜明砂)

노자시( 屎)

암순( , 메추리)

백설조(白舌鳥, 꾀꼬리)

사향(麝香)

우황(牛黃)

웅담(熊膽, 곰쓸개)

아교(阿膠, 갖풀)

호골(虎骨, 범뼈)

토육(兎肉, 토끼고기)

저유즙(猪乳汁, 돼지젖)

호음경(狐陰莖, 여우의 음경)

빼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