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한들 약초방 2016. 2. 17. 08:51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陽爲氣陰爲味陰味出下竅陽氣出上竅《內經》

(, 냄새) 양에 속하고 (, ) 음에 속한다. 음인 맛은 아래구멍[下竅]으로 나가고 양인 냄새는 윗구멍[上竅]으로 나간다[내경].

 

味厚者爲陰薄爲陰之陽氣厚者爲陽薄爲陽之陰味厚則泄薄則通氣薄則發泄厚則發熱《內經》

맛이 [味厚者] 음에 속하고 약한 [味薄] 가운데 [陰之陽] 속한다. 냄새가 [氣厚者] 양에 속하고 약한 것은 가운데 음에 속한다. 맛이 것은 설사가 나게 하고 약한 것은 통하게 한다. 냄새가 약한 것은 발산시켜 나가게 하고 것은 열이 나게 한다[내경].

 

淸陽出上竅濁陰出下竅淸陽發理濁陰走五藏淸陽實四肢濁陰歸六府《內經》

청양기(淸陽氣) 윗구멍으로 나가고 탁음기(濁陰氣) 아래구멍으로 나간다. 청양기는 주리로 발산되고 탁음기는 5장으로 간다. 청양기는 팔다리를 든든해지게 하고 탁음기는 6부로 간다[내경].

 

味有質故下流於便寫之竅氣無形故上出於呼吸之門陽爲氣氣厚者爲純陽陰爲味味厚者爲純陰故味薄者爲陰中之陽氣薄者爲陽中之陰陰氣潤下故味厚則泄利陽氣炎上故氣厚則發熱味薄爲陰少故通泄氣薄爲陽少故汗出發泄謂汗出也《內經註》

[] 형체[] 있기 때문에 오줌길과 항문으로 나가고 냄새[] 형체[] 없기 때문에 호흡기를 통해서 나간다. 냄새는 양에 속하므로 냄새는 순양(純陽) 되고 맛은 음에 속하므로 맛은 순음(純陰) 된다. 그러므로 맛이 약한 것은 가운데 양이 되고 냄새가 약한 것은 가운데 음이 된다. 음기는 아래를 눅여 주기 때문에 맛이 것은 설사가 나게 한다. 양기는 위로 떠오르기 때문에 냄새가 것은 열이 나게 한다. 맛이 약한 것은 음이 적은 것이기 때문에 통하게 하고 냄새가 약한 것은 양이 적은 것이기 땀이 나게 한다. 발산시켜서 배설시킨다는 것은 땀을 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내경주].

 

天有陰陽溫凉寒熱是也溫熱者天之陽凉寒者天之陰也

하늘[]에는 음과 양이 있는데 따뜻한 [], 서늘한 [ ], [], 더운 [] 바로 그것이다. 따뜻한 것과 열한 , 2가지는 하늘에서 양이 되고 서늘한 , , 2가지는 하늘에서 음이 된다.

 

地有陰陽辛甘淡酸苦鹹是也辛甘淡者地之陽酸苦鹹者地之陰也

[]에도 음과 양이 있는데 매운 , 단것, 슴슴한 , , , 것이 바로 그것이다. 매운 , 단것, 슴슴한 것은 땅에서 양이 되고 , , 것은 땅에서 음이 된다.

 

輕淸成象味薄細茶之類本乎天者親上也

생김새가 가볍고 맑으며 맛이 약한 것은 작설차 같은 것인데 이것은 하늘기운을 본땄기 때문에 위로 간다.

 

重濁成形味厚大黃之類本乎地者親下也

생김새가 무겁고 탁하며 맛이 것은 대황 같은 것인데 땅기운을 본땄기 때문에 아래로 간다.

 

味之薄者爲陰中之陽味薄則通酸苦鹹平是也

맛이 약한 [味之薄者] 가운데 양이 된다. 맛이 약한 것은 통하게 하는데 , , 짜면서 평한 것들이 바로 그런 것들이다.

 

味之厚者爲陰中之陰味厚則泄酸苦鹹寒是也

맛이 [味之厚者] 가운데 음이 된다. 그러므로 맛이 것은 설사가 나게 하는데 , , 짜면서 것들이 바로 그런 것들이다.

 

氣之厚者爲陽中之陽氣厚則發熱辛甘溫熱是也

냄새가 [氣之厚者] 가운데 양이 된다. 그러므로 냄새가 것은 열이 나게 하는데 매운 , 단것, 따뜻한 , 더운 것들이 바로 그런 것들이다.

 

氣之薄者爲陽中之陰氣薄則發泄辛甘淡平凉寒是也《東垣》

냄새가 약한 [氣之薄者] 가운데 음이 된다. 그러므로 냄새가 약한 것은 발산시켜서 내보내는데 단것, 슴슴한 , 평한 , , 서늘한 것들이 바로 그런 것들이다[동원].

 

淡爲五味之本故本草不言淡然其藏府則同也《入門》 

슴슴한 [] 5가지 맛의 근본이기 때문에 본초에 슴슴한 것에 대한 것은 씌어 있지 않다. 그러나 그것이 속한 장부는 단것과 같다[입문].

 

苦藥平升微寒平亦升甘辛藥平降《東垣》

맛이 쓰면서 성질이 평한 기운은 올라가는데 성질이 약간 차면서 평한 기운도 역시 올라간다. 맛이 달거나 매우면서 성질이 평한 기운은 내려간다[동원].

 

淸陽發理淸之淸也淸中淸者淸肺以助天眞

 청양기(淸陽氣) 주리( ) 퍼져 나가는 것은 이것이 맑은 가운데서도 맑은 [淸中淸]이기 때문이다. 맑은 가운데서도 맑은 것은 폐를 깨끗해지게 하여 타고난 진기를 도와준다.

 

淸陽實四肢淸之濁也淸中濁者榮華

청양기는 팔다리를 든든해지게[] 하는데 그것은 맑은 가운데서 약간 탁한 것이기 때문이다. 맑은 가운데서 약간 탁한 [淸中濁] 주리를 좋아지게 한다.

 

濁陰走五藏濁之淸也濁中淸者榮養于神

탁음기(濁陰氣) 5장으로 가는 것은 이것이 탁한 가운데서 맑은 것이기 때문이다. 탁한 가운데서 맑은 것은 정신을 좋아지게 한다.

 

濁陰歸六府濁中濁者堅强骨髓《東垣》

탁음기가 6부로 가는 것은 이것이 탁한 가운데서 탁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골수를 튼튼해지게 한다[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