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대맥얼(大麥蘖, 보리길금)

한들 약초방 2016. 3. 1. 11:35

  

 대맥얼(大麥蘖, 보리길금)

 

 

性微煖(一云溫)味甘稜無毒能消化宿食去心腹脹滿溫中下氣開胃止囍亂破琋結能催生落胎久食消腎不可多食《本草》     

성질이 약간 따뜻하다[微煖](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면서[甘] 짜고[ ] 독이 없다. 소화가 잘 되게 하여 오랜 체기를 없애고 명치 아래가 불러 오르면서 그득한 것[心腹脹滿]을 치료하며 속을 따뜻하게 하고 기를 내린다. 입맛이 나게 하고 곽란을 멎게 하며 징결( 結)을 파(破)한다. 또한 해산을 빨리하게 하고 유산하게 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신기(腎氣)가 소모되기 때문에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본초].

 

不以理生芽爲樍《入門》

땅에 묻지 않고 싹을 낸 것이 길금(蘖)이다[입문].

 

大麥水漬候芽生急暴令乾用可作飴糖《日用》

보리를 물에 담갔다가 싹이 난 다음에 급히 햇볕에 말려서 쓰는데 엿(飴糖)을 만드는 데도 쓴다[일용].

 

麥樍行上焦滯血宿食腸鳴溫中消穀《醫鑑》

보리길금은 상초(上焦)에 머물러 있는 피[滯血]를 잘 돌게 하고 오랜 체기와 배가 끓는 것[腸鳴]을 치료하는데 속을 따뜻하게 하고 음식이 소화되게 한다[의감].

 

入藥炒黃杵細取恪用之《湯液》

약으로는 노랗게 닦아서[炒黃] 절구에 짓찧은 다음 가루내어 쓴다[탕액].

 

'^*^동의보감^*^ > 동의보감탕액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맥면(蕎麥麵, 메밀가루)   (0) 2016.03.01
교맥(蕎麥, 메밀)   (0) 2016.03.01
대맥면(大麥麵, 보리쌀가루)   (0) 2016.03.01
청과맥(靑顆麥, 쌀보리)   (0) 2016.03.01
광맥( 麥, 겉보리)   (0) 2016.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