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죽엽( 竹葉, 왕대잎) ♣
◈性寒味甘(一云苦)無毒止咳逆上氣除煩熱止消渴壓丹石毒療風眙喉痺嘔吐主吐血熱毒風惡瘍殺小盤 ◈성질은 차며[寒] 맛이 달고[甘](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없다. 기침하면서 기운이 치미는 것을 멈추고 번열을 없애며 소갈을 멎게 하고 광물성 약독을 풀어 준다. 풍경(風痙), 후비(喉痺), 구토, 토혈(吐血), 열독풍(熱毒風), 악창을 낫게 하며 잔벌레를 죽인다.
◈竹有夑淡苦三種夑竹體圓而質勁大者宜刺船細者可爲苗甘竹似夑而茂卽淡竹也苦竹有白有紫《本草》 ◈참대 잎에는 근대엽[ 葉], 담죽엽(淡竹葉), 고죽엽(苦竹葉) 3가지가 있다. 왕대[ 竹]는 둥글고 질이 굳은데 큰 것은 배의 상앗대를 만들 수 있고 가는 것은 피리를 만든다. 감죽(甘竹)은 왕대 비슷한데 가늘고 무성하다. 즉 솜대(淡竹)이다. 고죽은 흰 것과 자줏빛 나는 것이 있다[본초].
◈夑竹淡竹爲上苦竹次之《入門》 ◈왕대, 담죽이 상품이고 고죽은 그 다음 간다[입문]. |
'^*^동의보감^*^ > 동의보감탕액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죽엽(苦竹葉, 오죽잎) (0) | 2016.03.10 |
---|---|
담죽엽(淡竹葉) (0) | 2016.03.10 |
자목( 木, 산뽕나무) (0) | 2016.03.10 |
상두충(桑 蟲, 뽕나무좀벌레) (0) | 2016.03.10 |
상시회림즙(桑柴灰淋汁, 뽕나무잿물) (0) | 2016.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