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익원산(益元散)

한들 약초방 2016. 4. 16. 09:49

 익원산(益元散)

 

출처 ; 의학정전(醫學正傳)(1515년),  편명 ; 이(痢)

 

내용 ; 여름에 땀을 많이 흘리고 열(熱)이 많이 나며 갈증이 심하거나, 더위 먹어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37.5 g. 구워서 분말로 만든다.

계부활석(桂府滑石): 225 g. 기름지고 하얀 것

 

조제용법 ; 두 약물을 함께 아주 곱게 가루 내어 매회 3돈을 끓인 물에 타서 수시로 복용한다.

 

주치병증

이(痢)

이질(痢疾)의 약칭. [이증삼자결(痢證三字訣)]에 "예전에는 장벽(腸澼) 혹은 체하(滯下)라고도 하였는데 지금은 이(痢)라 하니 설사를 하되 개운하지 않기 때문이다.(古名腸澼, 又曰滯下, 今名曰痢, 以其下利而不爽也.)"라고 하였다.

 

==================================================================================

※출처 ; 의방집해(醫方集解)(1692년),  편명 ; 갑집일권(甲集一卷)

 

내용 ; 여름에 땀을 많이 흘리고 열(熱)이 많이 나며 갈증이 심하거나, 더위 먹어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분초(粉草): 37.5 g. 약간 볶는다.

활석(滑石): 225 g. 물에 거른다.

 

조제용법 ; 약재분말을 꿀과 같이 복용한다(한번씩 7.5g-11.25g 복용)

 

주치병증

구건번갈(口乾煩渴)

입이 마르고 번갈(煩渴)이 있는 것

양방병증 ; 구갈증

 

상서(傷暑)

(1) 여름에 서사(暑邪)로 손상되어 생기는 서병(暑病)의 총칭. 신열(身熱), 다한(多汗), 심번구건(心煩口乾), 권태감, 두목불청(頭目不淸), 소변적삽(小便赤澁) 등의 증상이 나타남. 중서(中暑), 중갈(中暍), 중열(中熱), 모서(冒暑), 서풍(暑風), 서궐(暑厥), 서간(暑癎), 양서(陽暑), 음서(陰暑), 주하병(疰夏病)으로 나눔. (2) 서병(暑病)의 경한 것.

이명 ; 서상(暑傷)

 

신열(身熱)

전신에서 열이 나는 증상.  [소문(素問)] <자지론(刺志論)>에서는 "기(氣)가 허(虛)하여 몸에 열이 나는 것을 반(反)이라고 한다.(氣虛身熱, 此謂反也.)"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신열

'^*^동의보감^*^ > 동의보감 예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개산(華盖散)  (0) 2016.04.16
익황산(益黃散)  (0) 2016.04.16
황금병(黃金餠)  (0) 2016.04.16
청량음자(淸凉飮子)  (0) 2016.04.15
지황원(地黃元)  (0) 2016.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