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효산(必效散) ♣
◈治一切淋當歸生地黃赤茯巔滑石牛膝山梔仁麥門冬枳殼磕蓄木通知母黃栢酒炒各七分甘草五分右犫作一貼入燈心一團空心水煎服《醫鑑》
◈모든 임병을 치료한다.
당귀, 생지황, 벌건솔풍령(적복령), 곱돌(활석), 쇠무릎(우슬), 산치자, 맥문동, 지각, 마디풀, 으름덩굴(목통), 지모(술에 축여 볶은 것),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2.8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골풀속살(등심초) 2g과 함께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의감].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의감(醫鑑)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사(卷四) 소변(小便)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당귀(當歸): 2.625 g.
맥문동(麥門冬): 2.625 g.
목통(木通): 2.625 g.
산치인(山梔仁): 2.625 g.
생지황(生地黃): 2.625 g.
우슬(牛膝): 2.625 g.
적복령(赤茯苓): 2.625 g.
지각(枳殼): 2.625 g.
지모(知母): 2.625 g. 술로 볶는다.
편축(萹蓄): 2.625 g.
활석(滑石): 2.625 g.
황백(黃柏): 2.625 g. 술로 볶는다.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등심초 2g과 함께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
주치병증
제림(諸淋)
여러 가지 임병(淋病)
===============================================================================
출처 ; 의종금감(醫宗金鑑)(1742년)
편명 ; 편집외과심법요결(編輯外科心法要訣)-발무정처하(發無定處下)
구성약재
경분(輕粉): 15 g.
근수피(槿樹皮): 150 g.
대황(大黃): 75 g.
백약전(百藥煎): 52.5 g.
웅황(雄黃): 15 g.
파두(巴豆): 5.625 g. 기름을 제거한다.
해동피(海桐皮): 75 g.
반묘(斑猫): 1 개. 모두 사용한다.
조제용법 ; 함께 갈아서 음양수에 약을 섞어 선을 긁어 손상한곳에 얇게 발라 약을 건조시켜스스로 떨어질때까지 기다린다(共研極細末,用陰陽水調藥,將癬抓損,薄敷,藥幹必待自落).
주치병증
선(癬)
버짐. 피부의 표면이 헐지 않고 메마른 채로 번지는 피부병. 풍열습사(風熱濕邪)가 피부에 침습하여 오랫동안 막혀서 풍이 성해져 발생하며, 전염되기도 함. 몸의 어느 곳에나 생기고, 특히 얼굴에 많음. 피부가 까칠하고 약간 도드라지며 경계가 뚜렷함. 가려워서 쉬지 않고 긁음. 만약 고치지 않고 눈에까지 들어가면 여풍(癘風)이 됨. 원인에 따라 완선(頑癬), 풍선(風癬), 건선(乾癬) 등으로 분류함.
이명 ; 선창(癬瘡).
================================================================================
출처 ;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편명 ; 임집구권(壬集九卷)
구성약재
경분(輕粉): 3.75 g.
사향(麝香): 1.875 g.
파두(巴豆): 5 개. 껍질과 심, 막을 제거한다.
반묘(斑猫): 40 매(枚). 머리, 발, 날개부분을 제거하고 찰쌀과 함께 볶아서 쌀을 제거한다.
백빈랑(白檳榔): 1 개.
남붕사(南鵬砂): 9.375 g.
조제용법 ; 분말을 내어 계란 2개(노른자위를 뺀 흰자위)로 약을 반죽하여 각(殼)에 넣고 젖은 종이로 밀봉하고 삶는다. 꺼내서 말리고 분말을 내어 한번에 1.875g을, 생강을 볶은 술에 5(更, 오전 3시-5시)) 때에 복용한다. 아랫배가 아프면 익원산을 1첩 복용하면 독이 대변에서 나온다.
주치병증
나력(瘰癧)
서루(鼠瘻), 역자경(癧子頸), 경력(頸癧), 노서창(老鼠瘡) 작은 것이 나(瘰), 큰 것이 역(癧)임. 림프절에 멍울이 생긴 병증. 근심과 분노로 간화(肝火)가 막혀 담(痰)이 되어 경락에 머물렀다가 근육을 수축해 멍울이 됨. 목(頸項)과 귀 뒤, 자개미에 한두 개의 멍울이 생겨 구슬을 꿴 것처럼 이어지고, 처음에는 콩알만 하다가 점차 커져 복숭아씨 만해지고, 증한장열(憎寒壯熱), 인항강통(咽項强痛)이 있고, 누르면 움직임. 남자는 이마에 힘줄이 드러나고, 조열(潮熱)이 나고, 기침하고, 땀이 남. 부인은 눈에 핏발이 서고, 월경이 중단되고, 골증(骨蒸)과 오심번열(五心煩熱)이 있음.
양방병증 ; 경부임파선 결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