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내경편

해금사산(海金沙散)

한들 약초방 2015. 10. 12. 10:19

 해금사산(海金沙散)

 

 

治膏淋海金沙滑石各一兩甘草二錢半右爲末每一錢麥門冬燈心煎湯調下《入門》

 

고림을 치료한다.

실고사리알씨, 곱돌(활석) 각각 40g, 감초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 맥문동과 골풀속살(등심초) 달인 물에 먹는다[입문].

 

================================================================================

출처 ; 의종금감(醫宗金鑑)(1742년)

편명 ; 편집잡병심법요결(編輯雜病心法要訣)-소변불통(小便不通)

 

구성약재

복령(茯苓):

추석(秋石):

해금사(海金沙):

 

조제용법 ;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강물 1잔에 타서 끼니 전에 먹는다.

 

주치병증

소변불통(小便不通)

소변이 나오지 않는 병증.

이명 ; 융폐(癃閉)

양방병증 ; 소변장애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입문(入門)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사(卷四) 소변(小便)

 

구성약재

감초(甘草): 9.375 g.

해금사(海金沙): 37.5 g.

활석(滑石): 3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3.75g씩 맥문동과 등심을 달인 물에 타 먹는다.

 

주치병증

고림(膏淋)

소변이 쌀뜨물 혹은 기름 같은 임증(淋證). 대부분 신(腎)이 허하여 굳지 못하거나 습열(濕熱)이 하초(下焦)에 쌓여 훈증함으로써 발생한다.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임병제후(淋病諸候)>에서 "고림(膏淋)은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지방처럼 기름지므로 고림이라 하는데 또한 육림(肉淋)이라고도 한다. 이는 신이 허하여 비액(肥液)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므로 소변과 함께 나오는 것이다.(膏淋者, 淋而有肥狀似膏, 故謂之膏淋, 亦曰肉淋. 此腎虛不能制於肥液, 故與小便俱出也.)"라고 하였다.

이명 ; 육림(肉淋)

양방병증 ; 방광염; 배뇨곤란; 만성 신염 증후군; 전립샘의 염증성 질환; 요도염 및 요도 증후군

'^*^동의보감^*^ > 동의보감내경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각상환(鹿角霜丸)  (0) 2015.10.12
추석원(秋石元)  (0) 2015.10.12
향아산(香兒散)  (0) 2015.10.12
사림(沙淋)  (0) 2015.10.12
이신산(二神散)  (0) 2015.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