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시꽃(족규)♣
혈을 조화시키고 건조한 것을 촉촉하게 하여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며 이질, 토혈, 혈붕, 대하, 대소변불통, 월경불순, 화상, 전갈에 쏘인 상처, 음주로 인한 주부코, 분만촉진, 요로결석, 수종, 소변출혈, 모든 부스럼, 장옹, 소아 대변불통, 변비, 학질, 소아의 풍진을 치료하는 촉규화 맛은 달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피를 조화시키고 건조한 것을 촉촉하게 하고 대소변이 잘 통하게 한다.
주의사항으로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에서는 "임신중에는 복용하면 안된다."고 기록하고 있다.
맛은 달고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열을 내리고 혈분에서 열사를 제거하며 이뇨하고 농을 배출시키는 효능이 있다. 임병, 백대, 혈뇨, 토혈, 혈붕, 장옹, 부스럼을 치료한다. 40~80그램을 달이거가 환을 지어 또는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시 짓찧어 바른다."
접시꽃의 줄기 및 잎은 <천금, 식치>에서 "맛은 달며 성질은 약간 차고 활(滑)하며 독이 없다."고 기록한다. 열독하리(熱毒下痢), 임병(淋病), 칼 따위에 베인 상처를 치료한다. <본초습유>에서는 "잎을 태운 가루를 칼에 베인 상처에 바른다. 잎을 짓찧어서 화상에 바른다. 또한 잎을 구워서 달인 약을 소아에게 복용시키면 열독, 이질 및 성인의 단리(丹痢)를 치료한다. 짓찧은 즙을 복용해도 좋다. 복통의 염려가 있을 때는 바로 데워서 복용한다."고 기록한다. <본초강목>에서는 "채소를 만들어 먹으면 규(竅)를 매끄럽게 하고 임(淋)을 치료하며 촉촉하게 하고 분만을 쉽게 한다."고 적고 있다.
하루 7.5~23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달이거나 짓찧어서 즙으로 한다. 외용시 짓찧어서 도포하거나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서 가루로 만들어 개어 바른다.
꽃잎을 따서 말린 다음 약으로 쓰는데 그 기원은 당나라부터이다. 성분으로는 디벤조일칼비놀 등이 알려져 있다. 악효는 부인들이 백대하로 인하여 하복부가 차고 아프며, 얼굴색이 누렇고 나날이 몸이 마르고 수척해지는 증상에 투여하면 좋은 치료효과를 얻는다. 또한, 대소변을 보지 못하고 복부가 창만되어 호흡불통인 사람에게 투여한다. 이밖에 얼굴의 주근깨와 술을 많이 먹어서 생긴 코끝의 빨간 증상에도 활용된다.
뿌리는 촉규근이라고 하는데 당류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동물실험에서는 점막 염증의 보호와 완화자극작용을 함이 증명되었다. 약효는 소변을 잘못 보는 증상에 쓰고 자궁출혈과 토혈에 응용된다.
이렇게 사용하자,
1, 부인의 백대하로 하복부는 냉하고 통증이 있으며 안색은 위황(痿黃)하고 나날이 쇠약해지는 증상 접시꽃의 흰꽃 5돈 즉 188g을 응달에서 말려 미세한 분말로 가루내어 매 식전에 알맞게 데운 술로 7.5g씩 복용한다. 적대하인 경우는 적색 꽃을 사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2, 대소변이 통하지 않고 팽창감으로 인해 참기 어려운 증상 짓찧은 접시꽃 37.5g, 사향(麝香) 1.9g을 물 큰 컵으로 1컵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뿌리를 사용해도 좋다. [본초강목(本草綱目)]
3, 학질 및 사열(邪熱) 접시꽃의 흰꽃을 그늘에서 말려 가루로 만들어 복용한다. [본초도경(本草圖經)]
4, 음주로 인한 주부코 및 간암(䵟黯:기미간,검을암) 접시꽃 1홉을 갈아서 부드럽게 하여 납월지(蠟月脂: 음력 12월에 얻은 돼지비계)로 개어 저녁마다 바른다. [인존당경험방(仁存堂經驗方)]
5, 전갈에 쏘인 상처 접시꽃, 석류화(石榴花), 애심(艾心) 각 같은 양을 그늘에서 말려 한데 찧어서 물로 개어 물린 자리에 바른다. [보결주후방(補缺肘後方)]
6, 화상 접시꽃 3개를 마유(麻油) 75g에 담갔다가 환부에 붙인다. [귀주초약(貴州草藥)]
<접시꽃의 종자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7, 소아 대변불통 접시꽃 종자를 짓찧어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8, 분만 촉진 접시꽃 종자 7.5g, 활석(滑石) 11g을 가루로 만들어 19g을 물로 복용한다. [인재직지방(仁齋直指方)]
9, 수종, 대소변 불창(不暢), 요로결석 접시꽃 종자를 가루로 만들어 1회 7.5g씩, 1일 2회, 끓인 물로 복용한다.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접시꽃의 뿌리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10, 소변 임력(淋瀝) 접시꽃 뿌리 1줌을 깨끗이 씻어서 썰고 달여 5~7회 비등시켜 복용한다. [위생보감, 규화산(衛生寶鑑, 葵花散)]
11, 변비 접시꽃 뿌리, 동현채(冬莧菜) 각 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귀주초약(貴州草藥)]
12, 장옹(腸癰) 접시꽃 뿌리 3.75g, 대황(大黃) 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경험양방, 촉규탕(經驗良方, 蜀葵湯)]
13, 내옹(內癰)으로 패혈(敗血)이 있고 배설물의 비린내가 아주 심한 증상 및 제복냉통(臍腹冷痛) 본 약재를 이용하여 농을 배출하며 하혈(下血)하게 한다. 홑잎 붉은접시꽃 뿌리, 백지(白芷) 각각 37.5g, 고반(枯礬), 백작약(白芍藥) 각각 19g을 가루로 만들고 황납(黃蠟)을 녹여 벽오동씨 크기로 환제를 짓는다. 매화 빈속에 20환을 미음으로 복용하는데 혈농(血膿)이 전부 나오면 십선산(十宣散: 인삼, 황기, 당귀 등 10 가지의 고방명(古方名))을 복용하여 보양한다. [탄선개효방, 회충단(坦仙皆效方, 懷忠丹)]
14, 모든 부스럼의 부종 및 동통으로 견디기 어려운 증상 접시곷 뿌리의 검은껍질을 벗겨 제거하고 찧는데 너무 진하면 이른 아침에 길어 온 우물물을 소량 가하고 진하지 않으면 물을 사용하지 말고 얇은 종이로 고약처럼 해서 환부에 붙인다. [제생발졸(濟生拔箤)]
<접시꽃의 줄기 및 잎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15, 소변 출혈 접시꽃 줄기와 잎을 태운 재 일방촌비(一方寸匕: 고대 약물의 분말을 재던 기구명칭이다. 그 모양이 마치 적은 숟가락 같은데, 그 크기가 1촌 정방형이므로 이와같이 부르게 되었다. 일방촌비는 약 2.74밀리리터에 해당하며 쇠나 돌 가루를 담으면 약 2그램이고, 풀이나 나무 가루를 담으면 약 1그램이다.) 약 1g을 1일 2회 술로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16, 소아 구창(口瘡) 붉은 접시꽃 줄기를 약한 불에 쬐어 말려 가루를 만들어 봉밀(蜂蜜)과 혼합하여 입에 물게 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010-5360-70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