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금산(鬱金散)
◈治齒厇出血鬱金白芷細辛各等分右爲末常擦牙仍以竹葉竹茹入鹽煎水含漱《得效》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울금, 구릿대(백지), 족두리풀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이빨을 늘 문지른 다음 이어서 참대잎(죽엽)과 참대속껍질(죽여)을 소금과 함께 넣고 달인 물로 양치질해야 한다[득효].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십칠(券第十七) 구치겸인후과(口齒兼咽喉科) 치병(齒病)
구성약재
백지(白芷):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세신(細辛):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울금(鬱金):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조제용법 ; 가루낸 것을 이빨에 비빈다.
주치병증
치출혈(齒出血)
이에서 피가 나는 것
양방병증 ; 치아 출혈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외집권3(外集卷三),소아문 상(小兒門 上),태독류- 초생(胎毒類-初生)
구성약재
갈근(葛根):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감초(甘草):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길경(桔梗):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울금(鬱金):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천화분(天花粉):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조제용법 ; 분말을 내고 박하 끓인 탕에 꿀 넣어 5푼을 복용한다( 爲末 薄荷煎湯 入蜜 調服五分)
주치병증
대변불통(大便不通)
대변이 굳어 나오지 않는 병증.
이명 ; 대변비결(大便秘結)
양방병증 ; 변비; 요폐
소아발황(小兒發黃)
어린아이의 머리카락이 누렇게 되는 병증.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제8권에 ‘족소음(足少陰)은 신(腎)의 경맥(經脈)으로 그 혈기(血氣)의 영화로움이 머리카락에 나타나는데, 만약 혈기(血氣)가 부족하면 머리카락을 자양(滋養)하지 못하여 색깔이 노랗게 된다.(足少陰爲腎之經, 其血氣華於髮, 若血氣不足, 則不能潤悅於髮, 故髮黃也.)’라고 하였다.
소아복창(小兒腹脹)
어린아이의 복부가 불룩하게 부어 오르는 병증.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제47권에 "소아(小兒)의 장부(臟腑)는 연약한데 풍랭(風冷)의 사기(邪氣)가 침입하여 장기(臟氣)와 서로 얽히면 복창(腹脹)이 된다. 만약 비허(脾虛)하여 냉사(冷邪)가 위(胃)에 전해지면 먹어도 소화가 안 된다.(小兒臟腑嫩弱, 有風冷邪氣客之, 搏於臟氣, 則令腹脹. 若脹脾虛, 冷移於胃, 食則不消.)"라고 하였으며, 명나라 진치(陳治)가 편찬한 [유유근편(幼幼近編)]에는 "소아(小兒)의 복창(腹脹)에는 허증(虛證)과 실증(實證)이 있다. 소변이 불리(不利)하고 흉민(胸悶)으로 어지럽고 천급(喘急)하는 자는 사기(邪氣)가 실(實)한 것이다. 소변이 자리(自利)하고 천증(喘症)이 없으며 면목(面目)과 사지(四肢)에 부종이 있는 자는 정기(正氣)가 허(虛)한 것이다.(小兒腹脹, 有虛有實. 小便不利, 悶亂喘急者, 此邪氣之實也……. 小便自利, 不喘, 面目四肢浮腫者, 此正氣之虛也.)"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소아 복부 팽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