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외형편

궁궁산(芎 散)

한들 약초방 2015. 11. 7. 08:53

 궁궁산( )

 

 

治頭風眩暈兼治肝虛而暈尤宜婦人川芎一錢當歸七分半羌活旋覆花蔓荊子細辛石膏藁本荊芥穗半夏麴熟地黃防風甘草各五分右作一貼薑三片煎服《本事》(與上養血祛風湯同而分數異)

 

두풍증(頭風證)으로 생긴 어지럼증 () 허하여 생긴 어지럼증으로 치료하는데 부인에게 좋다.

궁궁이(천궁) 4g, 당귀 3g, 강호리(강활), 선복화, 순비기열매(만형자), 족두리풀(세신), 석고, 고본, 형개수, 반하국, 찐지황, 방풍,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본사]. (위에 있는 양혈거풍탕과 같으나 양이 다르다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십(券第十) 비병(鼻病)

 

구성약재

감수(甘遂)A: 18.75 g.

계심(桂心): 18.75 g.

궁궁(芎藭)A: 18.75 g.

부자(附子)A: 18.75 g.

통초(通草): 18.75 g.

북세신(北細辛): 18.75 g. 싹을 제거한다.

 

조제용법 ; 가루낸 것을 꿀로 알약을 만들고 솜에 싸서 콧구멍에 넣는다.

 

주치병증

뇌냉(腦冷)

머릿속이 차가운 것.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외형편(外形篇) 권일(卷一) 두(頭)

 

내용 ;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강활(羌活): 1.875 g.    만형자(蔓荊子): 1.875 g.

고본(藁本): 1.875 g.     당귀(當歸): 2.188 g.    반하국(半夏麴): 1.875 g.

방풍(防風): 1.875 g.     천궁(川芎): 3.75 g.     선복화(旋覆花): 1.875 g.

석고(石膏): 1.875 g.     세신(細辛): 1.875 g.    숙지황(熟地黃): 1.875 g.

형개수(荊芥穗): 1.8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효능 ; 간(肝)이 허(虛)해서 생기는 어지러운 증상을 치료하며 특히 부인들에게 좋다

 

주치병증

간허두훈(肝虛頭暈)

신정(腎精)이 부족해 간신음허(肝腎陰虛)를 일으켜 일어남. 머리가 어지럽고, 두통이 나고, 눈이 깔깔하고, 시력이 감퇴되어 특히 밤눈이 어둡고, 번조(煩躁)하여 잠을 못 자고, 월경이 통하지 않고. 이명(耳鳴)이 있고, 겁이 많아짐

이명 ; 간허현훈(肝虛眩暈)

 

두풍현훈(頭風眩暈)

풍담(風痰)이 가슴에 뭉쳐 청양(淸陽)을 막음으로써 발생한 현운(眩運). 두풍현훈(頭風眩暈)이라고도 함. [의편(醫碥)] <현훈(眩暈)>에서 ‘담연(痰涎)이 풍화(風火)를 따라 올라가 위를 막아 탁음(濁飮)이 청양(淸陽)을 간섭하기 때문이다. 두풍현훈을 앓는 사람은 대부분 담연 때문이다.(痰涎隨風火上壅, 濁陰干于淸陽也, 故頭風眩暈者多痰涎.)’라고 하였다.

'^*^동의보감^*^ > 동의보감외형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황산(大黃散)  (0) 2015.11.07
열훈(熱暈)  (0) 2015.11.07
천궁산(川芎散)  (0) 2015.11.07
풍훈(風暈)  (0) 2015.11.07
어지럼증[眩暈]  (0) 2015.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