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외형편

가미지출환(加味枳朮丸)

한들 약초방 2015. 11. 19. 09:02

 가미지출환(加味枳朮丸)

 

 

治淸痰食積酒積茶積肉積在胃脘當心而痛及滿惡心雜噫氣呑酸嘔吐脾疼等證白朮三兩枳實蒼朮猪麥芽炒神麴炒半夏各一兩澤瀉赤茯川芎黃連東壁土同炒白螺各七錢縮砂草豆黃芩東壁土炒靑皮蘿子炒乾生薑各五錢陳皮去白便香附瓜蔞仁厚朴檳各三錢木香甘草各二錢右爲末靑荷葉泡湯浸粳米粉作糊和丸梧子大淸米飮下百丸《正傳》

 

묽은 [淸痰], 식적(食積), 주적(酒積), 다적(茶積), 육적(肉積)으로 가슴이 아픈 것처럼 위가 아픈 것과 더부룩하고 그득하며 메슥메슥하고 명치 아래가 괴로우며 트림하고 속이 쓰리며 토하는 것과 비심통증 등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120g, 지실, 삽주(창출), 저령, 보리길금(맥아, 닦은 ), 약누룩(신국, 닦은 ), 끼무릇(반하) 각각 40g, 택사, 벌건솔풍령(적복령), 궁궁이(천궁), 황련(동쪽 벽의 흙과 같이 닦은 ), 흰소라껍질(白螺 , 달군 ) 각각 28g, 사인, 초두구, 속썩은풀(황금, 동쪽 벽의 흙과 같이 닦은 ), 선귤껍질(청피), 무씨(나복자, 닦은 ), 생강(말린 ) 각각 20g, 귤껍질(陳皮, 속을 버린 ),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 하늘타리씨(과루인), 후박, 빈랑 각각 12g, 목향, 감초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푸른 연잎을 우린 물에 담갔다 입쌀가루로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멀건 미음으로 먹는다[정전].

 

================================================================================

출처 ; 의학정전(醫學正傳)(1515년)

편명 ; 위완통(胃脘痛)

 

구성약재

감초(甘草): 7.5 g.

건생강(乾生薑): 18.75 g.

과루자(瓜蔞子): 11.25 g.

나사각(螺螄殼): 26.25 g.

내복자(萊菔子): 18.75 g. 볶는다.

맥얼(麥蘖): 37.5 g. 끓는 물로 담근다.

목향(木香): 7.5 g.

반하(半夏): 37.5 g. 껍질을 제거한다.

백출(白朮): 112.5 g. 밀기울로 노랗게 될때까지 볶는다. 미감물에 2박동안 담근후 불에 쬔다.

빈랑(檳榔): 11.25 g.

저령(猪苓): 37.5 g. 노랗게 될때까지 약간 볶는다.

적복령(赤茯苓): 26.25 g. 오래된 벽흙과 함께 볶아서 흙을 제거한다.

지실(枳實): 37.5 g. 검은 껍질을 제거한다.

진피(陳皮): 11.25 g. 하얀부분을 제거한다.

창출(蒼朮): 37.5 g. 밀가루, 노랗게 될때까지 볶는다.

천궁(川芎): 26.25 g. 하얗다.

청피(靑皮): 18.75 g. 하얀부분을 제거한다.

초두구(草豆蔲): 18.75 g.

택사(澤瀉): 26.25 g.

향부미(香附米): 11.25 g. 동변에 담근다.

황금(黃芩): 18.75 g. 오래된 벽흙과 함께 볶는다.

황련(黃連): 26.25 g.

후박(厚朴): 11.25 g. 강즙으로 볶는다.

신곡(神麯): 37.5 g. 털을 제거한다.

축사인(縮砂仁): 18.75 g.

 

조제용법 ; 위의 약을 갈아 청하즙(靑荷汁)으로 끓여 담그고 찰벼를 갈아 풀을 만들어 오동나무 씨대 크기의 환을 만들어 70-100알을 한첩으로 해 맑은 미음과 먹는다.

 

주치병증

구토탄산(嘔吐呑酸)

구토(嘔吐)와 탄산(呑酸)

 

 

다적(茶積)

차를 즐겨 마셔 생기는 적취(積聚). [잡병원류서촉(雜病源流犀燭)] <적취징가현벽비원류(積聚癥瘕痃癖痞源流)>에서 "다적은 차를 즐겨 마셔 비적(癖積)이 형성된 것인데 말린 찻잎을 즐겨 먹어도 생긴다.(茶積, 好飮茶成癖積, 或喜吃乾茶葉而成積.)"라고 하였다.

 

 

비만(痞滿)

흉완부(胸脘部)가 막혀 그득하고 답답하되 아프지 않은 병증. [소문(素問)]에서는 비(否), 만(滿), 비색(痞塞)으로 불렀다. [경악전서(景岳全書)] <상한전(傷寒典)>에서는 "단지 그득하기만 하고 아프지 않은 것은 비만(痞滿)이며 결흉(結胸)이 아니다. 비만증(痞滿證)은 표사(表邪)가 흉중(胸中)에 이르러 아직 부(府)로 들어가지 못한 것으로, 이는 장차 들어가려 하나 아직 들어가지 못한 것이라 오히려 표(表)를 겸하니, 반표반리증(半表半裏證)으로 소시호탕류(小柴胡湯類)에 지각(枳殼) 따위를 더하여 치료한다.(若但滿不痛者, 此爲痞滿, 非結胸也. 凡肥滿之證, 乃表邪傳至胸中, 未入於府, 此其將入未入猶兼乎表, 是卽半表半裡之證, 只宜以小柴胡之屬加枳殼之類治之.)"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소화불량

 

 

식적(食積)

구적(九積)의 하나.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오랫동안 정체됨으로써 형성된 적증(積證). [유문사친(儒門事親)] 제3권에서 "음식이 쌓이면 속이 쓰리고 배가 그득한데 대황(大黃), 견우(牽牛) 따위로 치료하고, 심한 경우는 몽석(礞石)과 파두(巴豆)로 치료한다.(食積, 酸心腹滿, 大黃, 牽牛之類, 甚者礞石, 巴豆.)"고 하였다.

이명 ; 숙식불소(宿食不消), 유식부조(乳食不調)

양방병증 ; 소화불량

 

심통(心痛)

흉완부(胸脘部)가 아픈 것을 통틀어 일컫는 말. (1) 가슴앞 또는 명치께가 아픈 것. (2) 위완통(胃脘痛). [단계심법(丹溪心法)] <심비통(心脾痛)>에서 "심통은 즉 위완통이다.(心痛卽胃脘痛.)"라고 하였다. 고대의 문헌에는 심통에 대한 여러 가지 기록이 실려 있는데, 진심통(眞心痛), 궐심통(厥心痛), 구종심통(九種心痛), 냉심통(冷心痛), 열심통(熱心痛), 기심통(氣心痛), 혈심통(血心痛), 식심통(食心痛), 음심통(飮心痛), 실혈심통(失血心痛), 회심통(蚘心痛), 충심통(蟲心痛), 대실심통(大實心痛), 계심통(悸心痛) 등이 있다.

양방병증 ; 흉통

 

애기(噯氣)

트림. 비위허약(脾胃虛弱)으로 생기면 간간이 트림하고, 소화가 안 되고, 멀건 물을 게우고, 입맛이 없고, 얼굴에 핏기가 없으며, 혀의 색이 엷고, 설태는 희고 얇음. 식체(食滯)로 오면 썩은 냄새가 나는 트림을 자주 하고, 흉복(胸腹)이 그득하며 답답하고, 대변이 굳거나 역한 냄새가 나고, 설태가 두터움.

양방병증 ; 트림

 

오심(惡心)

매스꺼움. 토하고 싶어도 토해지지 않는 증상. 대개 구토의 조짐임. 담(痰)이 중완(中脘)에 응체(凝滯)하거나, 습열(濕熱)이 위(胃)를 막아서 생김.

양방병증 ; 구역

 

위완통(胃脘痛)

명치에 가까운 윗배가 아픈 병증. 위통(胃痛), 완통(脘痛), 심하통(心下痛), 심통(心痛)이라고도 한다. 칠정(七情)이 울결하거나 과로하거나 무절제하게 먹고 마심으로써 발생한다. 한열(寒熱)과 허실(虛實)의 구분이 있다. 또한 허와 실이 섞이거나 한과 열을 겸한 경우도 있다.

이명 ; 위통(胃痛), 완통(脘痛), 심하통(心下痛), 심통(心痛)

양방병증 ; 상복부통

 

육적(肉積)

구적(九積)의 하나. 고기를 지나치게 많이 먹어 얹혀서 쌓인 병증. [유문사친(儒門事親)] 제3권에서 "육적(肉積)은 췌(#췌1), 유(瘤), 핵(核), 역(癧) 등이다. 이분(膩粉; 경분), 백정향(白丁香)을 쓰면서 돌침으로 찔러 피를 내되 심하면 노사(硇砂)나 신석(信石)을 쓴다.(肉積, #췌1瘤核癘, 膩粉, 白丁香, 砭刺出血, 甚則硇砂, 信石.)"라고 하였다.

이명 ; 적(積)

 

조잡(嘈雜)

명치 아래가 쌀쌀하면서 아픈 병증. [의학정전(醫學正傳)] <조잡애기(嘈雜噯氣)>에서 "조잡증은 배가 고픈 듯하면서도 고프지 않고 아픈 듯하면서도 아프지 않으면서 오뇌하여 편하지 않다.(夫嘈雜之爲證也, 似飢不飢, 似痛不痛, 而有懊憹不自寧之狀者是也.)"라고 하였다.

而有懊憹不自寧之狀者是也.)"라고 하였다.

이명 ; 심조(心嘈), 조심(嘈心)

양방병증 ; 위궤양; 가슴앓이; 소화불량; 위공장궤양; 십이지장궤양; 알코올성 위염; 기타 급성 위염; 위의 급성 확장; 위염 및 십이지장염; 고창 및 연관된 병태; 상세불명의 만성 위염; 위 및 십이지장의 기타 질환; 상세불명 부위의 소화성 궤양; 달리 분류되지 않은 날문연축증

 

주적(酒積)

구적(九積)의 하나. 술을 너무 많이 마셔 적체된 병증. [의편(醫碥)] 제3권에 "주적(酒積)은 눈이 누렇고 입이 마르며 배가 불러 오고 더부룩하면서 적게 먹는다. 갈근(葛根)․지실(枳實)․맥아(麥芽) 따위가 적합하다.(酒積, 目黃口乾, 肚腹脹滿, 少食. 宜葛根, 枳實, 麥芽之類.)"라고 하였다

 

 

비동(脾疼)

비(脾)가 아픈 것을 말함.

 

================================================================================

출처 ; 경악전서(景岳全書)(1610년) 직지(直指)

편명 ; 권지오십사 서집(卷之五十四 書集), 고방팔진(古方八陣),화진(和陣)

 

구성약재

맥아(麥芽): 37.5 g. 볶는다.

백출(白朮): 75 g. 쌀뜨물에 담근후 볶는다.

사인(砂仁): 18.75 g. 볶는다.

산사(山査): 37.5 g.

신국(神麴): 37.5 g. 볶는다.

지실(枳實): 37.5 g. 밀기울과 볶는다.

진피(陳皮): 37.5 g.

향부자(香附子): 37.5 g. 볶는다.

 

조제용법 ; 환으로 만들어 복용한다(如前法丸服)

 

주치병증

비위허약(脾胃虛弱)

비기허(脾氣虛).

 

식적기체(食積氣滯)

식적으로 인한 기체

양방병증 ; 소화불량

 

흉복창만(胸腹脹滿)

가슴과 배가 불어나고 그득한 증. 비양(脾陽)의 쇠약으로 간기(肝氣)가 왕성해져 비(脾)를 눌러 그 운화작용(運化作用)이 약화되어 일어남. 심하면 몸과 얼굴이 누렇게 붓고 흉복(胸腹)이 창만(脹滿)해짐.

'^*^동의보감^*^ > 동의보감외형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울산(淸鬱散)  (0) 2015.11.19
청열해울탕(淸熱解鬱湯)  (0) 2015.11.19
위심통(胃心痛)  (0) 2015.11.18
가자산(訶子散)  (0) 2015.11.18
비심통(脾心痛)   (0) 2015.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