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호골산(虎骨散)

한들 약초방 2015. 12. 8. 09:35

 호골산(虎骨散)

 

 

治歷節風百節痛無定處久則變成風毒痛入骨髓不移其處又云骨髓痛者宜此藥虎骨灸二兩白花蛇肉天麻防風牛膝白蠶炒當歸酒浸乳香桂心各一兩全蝎灸甘草灸各五錢麝香一錢右爲末每二錢溫酒調下豆淋酒尤好《齊生》

역절풍(歷節風)으로 여러 뼈마디가 시큰거리고 여기저기가 아픈 것과 이것이 오래되어 풍독(風毒) 생겨 골수로 들어가서 곳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한 골수가 아픈 데도 약을 쓴다고 하였다.

범뼈(호골, 연유( ) 발라 구운 ) 80g, 백화사육(白花蛇肉), 천마, 방풍, 쇠무릎(우슬), 백강잠(닦은 ), 당귀(술에 담갔던 ), 유향, 계심 각각 40g, 전갈(닦은 ), 감초(닦은 ) 각각 20g, 사향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 데운 술에 먹는다. 두림주에 타서 먹으면 좋다[제생].

 

一方加有自然銅白附子檳羌活白芷川芎各一兩地龍沒藥雄黃各五錢服法亦同治白虎歷節風走痛《直指》

 어떤 처방에는 자연동, 노랑돌쩌귀(백부자), 빈랑, 강호리(강활), 구릿대(백지), 궁궁이(천궁) 각각 40g, 지렁이(지룡), 몰약, 석웅황(웅황) 각각 20g 있다. 먹는 방법은 위와 같다. 백호역절풍으로 여기저기가 아픈 것도 치료한다[직지].

 

===============================================================================

 

※출처 ; 경악전서(景岳全書)(1610년)

 

구성약재

고본(藁本): 37.5 g.     당귀(當歸): 75 g.

백출(白朮): 37.5 g.     오사육(烏蛇肉): 75 g.

속단(續斷): 37.5 g.     적작약(赤芍藥): 37.5 g.

호골(虎骨): 37.5 g.

 

조제용법 ; 곱게 가루 내어 식후에 2돈씩 온주로 복용한다(右爲細末. 每服二錢, 食後溫酒調下).

 

주치병증

기육건수(肌肉乾瘦)

기육이 여위고 메마른 것. 기육은 비장(脾臟)이 주관하므로, 비가 허해 일어남.

 

반신불수(半身不遂)

중풍(中風)에서 늘 나타나는 증상의 하나. 반신불수(半身不隨)라고도 쓰고, 편고(偏枯), 편풍(偏風)이라고도 함. [금궤요략(金匱要略)] <중풍역절병맥증병치(中風歷節病脈證幷治)>에서 "풍이 병을 일으키면 으레 반신불수(半身不隨)가 된다.(夫風之爲病, 當半身不遂.)"라고 하였다. 주된 증상은 몸의 반쪽을 뜻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것으로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말을 더듬는 등의 증상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이명 ; 반신불수(半身不隨), 편고(偏枯), 편풍(偏風)

 

편고(偏枯)

한쪽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병증. 편풍(偏風), 반신불수(半身不遂)라고도 함. 대부분 영위(營衛)가 모두 허하여 진기(眞氣)가 전신을 넉넉히 채우지 못하니 사기(邪氣)가 몸의 허(虛)한 쪽을 침입함으로써 발생한다. 한쪽 팔다리를 쓰지 못하고 겸하여 저릿하게 아프며 오래되면 팔다리의 살갗과 살이 마르는데 정신이 이상해지지는 않는다.영추(靈樞)] <열병(熱病)>에는 "편고(偏枯)는 몸의 한쪽이 말을 듣지 않으면서 아프되, 말하는 데는 지장이 없고 정신도 어지럽지 않으니 병이 분육(分肉)과 주리(腠理)에 있는 것이다.(偏枯, 身偏不用而痛, 言不變, 志不亂, 病在分腠之間.)"라고 하였다

이명 ; 편풍(偏風), 반신불수(半身不遂)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굽는다.

계심(桂心): 37.5 g. 불을 쓰지 않는다.

사향(麝香): 3.75 g. 따로 간다.

당귀(當歸): 37.5 g. 노(盧)를 제거하고 술에 담근다.

유향(乳香): 37.5 g. 따로 간다.

방기(防己): 37.5 g. 노(蘆)를 제거한다.

천마(天麻): 37.5 g.

백강잠(白殭蠶): 37.5 g. 볶아서 입을 제거한다.

우슬(牛膝): 37.5 g. 술에 담근 후 노(蘆)를 제거한다.

전갈(全蝎): 18.75 g. 독을 제거한다.

호골(虎骨): 150 g. 연유를 발라서 굽는다.

호반유사(虎斑游蛇): 37.5 g. 술로 담근후 살을 취한다.

 

조제용법 ; 가루낸 것을 매번 3.75g을 따뜻한 술로 수시로 복용한다.

 

주치병증

양통(痒痛)

피부가 가렵고 아픈 증상

양방병증 ; 통증; 가려움증

 

지절동통(肢節疼痛)

팔다리의 뼈마디의 통증

 

호풍(虎風)

여러 가지 풍증에 대한 이름(諸風病名) 중의 하나로 양의 울음 같은 소리를 내는 것(虎風發吼羊呌)을 말함.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향원(麝香元)  (0) 2015.12.08
가감호골산(加減虎骨散)  (0) 2015.12.08
정통산(定痛散)  (0) 2015.12.08
신통음(神通飮)   (0) 2015.12.08
오령환(五靈丸)  (0) 2015.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