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황기탕(黃 湯)

한들 약초방 2015. 12. 31. 10:28

 황기탕( )

 

治諸渴生乾之黃二錢黃茯神天花粉麥門冬各一錢五味子甘草各五分右作一貼水煎服《直指》

 

여러 가지 소갈을 치료한다.

생건지황 8g, 단너삼(황기), 복신, 하늘타리뿌리(천화분), 맥문동 각각 4g, 오미자,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

출처 ; 방약합편(方藥合編)(1884년)

편명 ; 증보방(增補方)

 

구성약재

구기자(枸杞子): 5.625 g.

맥문동(麥門冬): 5.625 g.

숙지황(熟地黃): 5.625 g.

오미자(五味子): 3.75 g.

인삼(人蔘): 5.625 g.

황기(黃芪): 11.25 g.

 

조제용법 ; 물에 달여서 공복에 1일에 2-3번 복용(水煎 空心 日再三服)

 

주치병증

다뇨(多尿)

소변을 정상보다 많이 보는 것.

양방병증 ; 다뇨증; 인슐린-의존 당뇨병; 인슐린-비의존 당뇨병

 

폐신양허(肺腎兩虛)

폐와 신이 다 허해진 병증.폐신음허(肺腎陰虛)와 폐기허(肺氣虛), 신양허(腎陽虛)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는 모두 오랜 질병으로 폐, 신의 두 장기가 손상되어 발생한다. 폐기(肺氣)와 신양(腎陽)이 허할 때는 기침소리가 약하고 숨이 가쁘며 절로 땀이 나고 팔다리가 차며 추위를 타고 부종이 발생하는데, 치료법은 비신(脾腎)을 온보(溫補)하거나 보신납기(補腎納氣)를 해야 한다. 폐신(肺腎)의 음(陰)이 허하면 기침과 식은땀이 나고 번열(煩熱)과, 조열(潮熱)이 나며, 꿈에 유정(遺精)하는 등의 증세가 나타나므로, 자음강화(滋陰降火)하여 폐신을 동시에 치료해야 한다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련지황탕(黃連地黃湯)  (0) 2015.12.31
천화산(天花散)  (0) 2015.12.31
청신보기탕(淸神補氣湯)   (0) 2015.12.31
대황감초음자(大黃甘草飮子)  (0) 2015.12.31
매화탕(梅花湯)  (0) 2015.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