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 때의 맥[癰疽脈] ♣
數怴不時則生惡瘡也《仲景》 때 아닌 삭맥(數脈)이 나타나는 것은 악창(惡瘡)이 생기려는 것이다[중경].
癰疽浮數惡寒發熱若有痛處癰疽所發怴數發熱而疼者陽不數不熱不疼陰瘡發癰之怴弦洪相搏沈細而直肺肝俱數《怴訣》 옹저 때의 맥은 부삭(浮數)하다. 오한과 열이 나면서 아픈 곳이 있는 것은 옹저가 생기려는 것이다. 맥이 삭(數)하고 열이 나며 아픈 데가 있는 것은 양창(陽瘡)이고 맥이 삭하지 않고 열도 없으며 아프지도 않은 것은 음창(陰瘡)이다. 옹저가 생길 때의 맥은 현맥(弦脈)과 홍맥(洪脈)이 뒤섞인다. 맥이 침세(沈細)하면서 곧추 뛰고 삭(數)한 것은 폐옹(肺癰)이나 간옹(肝癰)이다[맥결].
陰滯于陽則發癰陽滯于陰則發疽此二毒發無定處當以怴別之浮洪滑爲陽微沈緩斡爲陰《精義》 음이 양에 막히면 옹(癰)이 생기고 양이 음에 막히면 저(疽)가 생긴다. 이 2가지의 독이 생기는 곳은 일정하지 않으므로 맥으로 갈라내야 한다. 맥이 부(浮), 홍(洪), 활(滑)한 것은 양독이고 미(微), 침(沈), 완(緩), 색( )한 것은 음독이다[정의].
怴數身無熱內有膿(一作癰)也一云腹無積聚身無熱怴數此爲腸中有膿《怴經》 맥이 삭하고 몸에 열이 없는 것은 속에 고름(어떤 데는 옹(癰)이라고 하였다)이 있는 것이다. 또는 뱃속에 적취(積聚)도 없고 몸에 열도 없으면서 맥이 삭한 것은 창자 속에 고름이 있는 것이다[맥경].
怴滑而數數則爲熱滑則爲實滑則主榮數則主衛榮衛相干則結爲癰熱之所過則爲膿也《怴經》 맥이 활삭(滑數)하다면 삭한 것은 열증(熱證)이고 활한 것은 실증(實證)이다. 활한 것은 영기(榮氣)의 상태이고 삭한 것은 위기(衛氣)의 상태이다. 영위가 뒤섞여 뭉치면 옹이 생기고 열이 몰리면 곪는다[맥경].
瘡疽之人膿血大泄而怴滑大數者難治也凡瘻膿多或如淸厹怴滑大散而寒熱發渴者治之無功也《精義》 창저(瘡疽)가 생겨 피고름이 많이 나오면서 맥이 활대(滑大)하고 삭(數)하면 치료하기 어렵다. 옹저에 구멍이 생겨 고름이 많이 나오거나 멀건 쌀뜨물 같은 것이 나오며 맥이 활대하면서 산(散)하고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며 갈증이 나는 것은 아무리 치료하여도 효과가 나지 않는다[정의].
患肺癰者咳唾膿血怴見洪滑治之難烡矣《精義》 폐옹(肺癰)으로 기침하면서 피고름이 섞인 가래를 뱉고 맥이 홍활(洪滑)한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정의].
癰疽已決其膿而煩疼尙未全退其怴洪㵋又難爲力《直指》 옹저가 이미 곪아터져 고름이 나왔으나 안타깝게 아픈 것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으면서 맥이 홍(洪)하고 거친 것도 역시 치료하기 어렵다[직지].
癰疽怴來滯澁但得和緩爲平若洪㵋則銳毒不收鮮有濟也《直指》 옹저 때 맥이 체삽(滯澁)하면서 화완(和緩)한 것은 정상이고 홍(洪)하면서 거친 것은 심한 독이 없어지지 않은 것이므로 살리기 어렵다[직지].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옹저 때는 고름이 있는가 없는가 얕은 곳에 있는가 깊은 곳에 있는가를 갈라 보아야 한다 (0) | 2016.01.04 |
---|---|
옹저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하지 못할 증상 (0) | 2016.01.04 |
옹저 때는 반드시 어느 경락과 관련된 것인가를 가려 보아야 한다 (0) | 2016.01.04 |
옹저 때에는 속에 생긴 것과 겉에 생긴 것을 갈라 보아야 한다 (0) | 2016.01.04 |
옹저가 생기면 죽을 수 있는 부위가 따로 있다 (0) | 2016.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