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제음단(濟陰丹)

한들 약초방 2016. 1. 29. 10:28

 

 제음단(濟陰丹)

 

 

治婦人久冷無子及數經墮胎皆因衝任虛損胞內宿挾疾病經候不調或崩漏帶下三十六疾皆令孕育不成以至絶嗣亦治産後百病令人有孕及生子充實無病蒼朮八兩香附子熟地黃澤蘭各四兩人參桔梗蠶退石斛藁本秦甘草各二兩當歸桂心乾薑細辛牧丹皮川芎各一兩半木香白茯京墨燒桃仁各一兩川椒山藥各七錢半米炒一升大豆黃卷炒半升右爲末煉蜜和勻兩作六丸每一丸細嚼溫酒或醋湯送下《局方》

 

부인이 오랜 냉병으로 임신을 하지 못하거나 자주 유산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충맥(衝脈) 임맥(任脈) 허손(虛損)되고 자궁 안에 오랜 병이 있어서 월경이 고르지 못하기 때문이다. 혹은 붕루(崩漏), 대하(帶下) 36가지 병은 임신하지 못하게 하므로 대가 끊어지기도 한다. 또는 해산 온갖 병을 치료하여 임신이 되게 하며 아이를 낳은 다음 없이 충실히 자랄 있게 한다.

삽주(창출) 300g, 향부자, 찐지황(숙지황), 쉽싸리(택란) 각각 160g, 인삼, 도라지(길경), 잠퇴, 석곡, 고본, 진교, 감초 각각 80g, 당귀, 계심, 건강, 족두리풀(세신), 모란뿌리껍질(목단피), 궁궁이(천궁) 각각 60g, 목향, 흰솔풍령(백복령), 좋은 (태운 ), 복숭아씨(도인) 각각 40g, 조피열매(천초), (산약) 각각 30g, 찹쌀(닦은 ) 2 , 대두황권(닦은 ) 1 2.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졸인 꿀로 반죽한 다음 40g으로 6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데운 술이나 식초를 끓인 물로 씹어 먹는다[국방].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국방(局方)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卷十) 부인(婦人)

 

구성약재

감초(甘草): 75 g.

건강(乾薑): 56.25 g.

경묵(京墨): 37.5 g. 태운다.

계심(桂心): 56.25 g.

고본(藁本): 75 g.

길경(桔梗): 75 g.

나미(糯米): 150 g (1.8 L). 볶는다.

당귀(當歸): 56.25 g.

대두황권(大豆黃卷): 75 g (0.9 L). 볶는다.

도인(桃仁): 37.5 g.

목단피(牧丹皮): 56.25 g.

목향(木香): 37.5 g.

백복령(白茯苓): 37.5 g.

산약(山藥): 28.125 g.

석곡(石斛): 75 g.

세신(細辛): 56.25 g.

숙지황(熟地黃): 150 g.

인삼(人蔘): 75 g.

잠퇴(蠶退): 75 g.

진교(秦艽): 75 g.

창출(蒼朮): 300 g.

천궁(川芎): 56.25 g.

천초(川椒): 28.125 g.

택란(澤蘭): 150 g.

향부자(香附子): 150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졸인 봉밀로 반죽한 다음 37.5g으로 6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데운 술이나 식초를 둔 끓인 물로 잘 씹어 먹는다.

 

주치병증

경후부조(經候不調)

월경부조(月經不調)

양방병증 ; 월경불순; 월경불규칙

 

붕루대하(崩漏帶下)

붕대(崩帶)와 같음. 붕루(崩漏)와 대하(帶下)를 통틀어 말함.

양방병증 ; 질분비물; 월경중간출혈

 

삭경(數經)

월경주기가 짧은 것. 보통 28일, 간혹 25일 주기인데 이보다 주기가 빠름.

 

산후병(産後病)

출산 후에 생기는 병.

양방병증 ; 산후병증

 

타태(墮胎)

임신한 지 3개월 이상 되어서 기혈허약(氣血虛弱), 신허(腎虛), 혈열(血熱), 독약상태(毒藥傷胎), 외상(外傷) 등으로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이 손상되어 혈을 고섭(固攝)시켜 태아(胎兒)를 기르지 못하므로 달이 차기 전에 아이를 낳는 것. 반생(半生), 반산(半産), 실태(失胎), 상신(傷娠), 혁산(革産), 손신(損娠)이라고도 한다

이명 ; 반생(半生), 반산(半産), 실태(失胎), 상신(傷娠), 혁산(革産), 손신(損娠), 소산(小産)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십사(券第十四) 산후(産後)

 

구성약재

감초(甘草): 75 g. 굽는다.

건강(乾薑): 18.75 g. 굽는다.

경묵(京墨): 37.5 g. 태운다.

계심(桂心): 18.75 g.

고본(藁本): 75 g.

길경(桔梗): 75 g. 볶는다.

나미(糯米): 150 g (1.8 L). 볶는다.

당귀(當歸): 18.75 g.

대두황권(大豆黃卷): 150 g. 볶는다.

도인(桃仁): 37.5 g. 껍질과 뾰족한 부분을 제거하고 볶는다.

목단피(牧丹皮): 18.75 g.

목향(木香): 37.5 g. 굽는다.

복령(茯苓): 37.5 g.

산약(山藥): 1.125 g.

석곡(石斛): 75 g. 술에 담근다.

세신(細辛): 18.75 g.

숙지황(熟地黃): 150 g. 볶는다.

인삼(人蔘): 75 g.

잠포지(蠶布紙): 75 g. 태운다.

진교(秦艽): 75 g.

창출(蒼朮): 300 g.

천궁(川芎): 18.75 g.

천초(川椒): 1.125 g. 볶는다.

택란(澤蘭): 150 g. 볶는다.

향부자(香附子): 150 g. 볶는다.

 

조제용법 ; 가루낸 것을 달인 꿀로 37.5g당 6개의 알약을 만든다. 식전에 따뜻한 술로 씹어서 삼킨다.

 

주치병증

숙혈(宿血)

혈(血)이 정체하여 오래된 혈(血)을 의미한다. 더 오래되면 어혈(瘀血)이 된다.

 

=================================================================================

출처 ;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편명 ; 임집구권(壬集九卷)

 

구성약재

강황(薑黃): 37.5 g.

백지(白芷): 37.5 g.

적작약(赤芍藥): 37.5 g.

천화분(天花粉): 112.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로 만들어 달인 차에 저어 환처에 바른다.

 

주치병증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대소변을 보지 못하는 것.

이명 ; 대소변난(大小便難)

양방병증 ; 변비; 요폐; 소변장애

 

상골(傷骨)

뼈 조직이 손상된 것.

 

어혈(瘀血)

어혈증, 혈어. 혈액이 경맥밖으로 나와 조직 사이에 머물러 있는 것. 타박상 등 외상(外傷), 폐경(閉經), 한사(寒邪)로 기가 몰리거나 혈열(血熱)로 생김. 또 어떤 질병에서 2차적으로 생길 수도 있음. 피부가 청자색으로 되고 거칠어지며, 얼굴이 검고, 고정된 곳이 심하게 아픈데 누르면 더 아프며, 때로 피를 토하고, 월경이 나오지 않고, 대변이 검고, 아랫배가 딴딴하고, 흉협통(胸脇痛)이 있고, 혀가 암자색을 띠고, 간혹 어혈 반점이 나타남. 심하면 건망증이 생기고, 놀라며 발광함. (1) 혈액(血液)의 순환장해(循環障害), 특히 말초혈관(末梢血管)의 순환장해(循環障害)에 의한 울혈(鬱血), 출혈반(出血斑). (2) 염증(炎症)에 의한 조직(組織)의 삼출(滲出), 변성(變性), 괴사(壞死), 증식(增殖). (3) 대사장해(代謝障害)에 의한 조직(組織)의 병리반응(病理反應) 등.

 

민란(悶亂)

가슴이 답답하면서 불안한 병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