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교애탕(膠艾湯)

한들 약초방 2016. 1. 31. 09:50

 

 교애탕(膠艾湯)

 

 

治胎漏安胎極妙熟地黃艾葉當歸川芎阿膠珠甘草灸黃各一錢右作一貼水煎服日二次《正傳》

태루를 치료하며 안태시키는 아주 좋다.

찐지황(숙지황), 약쑥(애엽), 당귀, 궁궁이(천궁), 아교주, 감초(닦은 ), 단너삼(황기)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하루에 두번씩 먹는다[정전].

 

局方無黃有白芍藥

『국방』에는 단너삼(황기) 없고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있다.

 

===================================================================================

출처 ; 의학정전(醫學正傳)(1515년)

편명 ; 부인과중 태전(婦人科中 胎前)

 

구성약재

당귀(當歸): 1.875 g.

숙지황(熟地黃): 1.875 g.

아교(阿膠): 1.875 g.

애엽(艾葉): 1.875 g.

자감초(炙甘草): 1.875 g.

천궁(川芎): 1.875 g.

황기(黃芪): 0.938 g.

 

조제용법 ; 위의 약을 잘게 잘라 한첩으로 해 물 한잔반이 한잔이 될때까지 달여 따뜻하게 먹는다.

 

효능 ; 안태(安胎)

 

주치병증

사지궐랭(四肢厥冷)

[금궤요략(金匱要略)] <복만한산숙식병맥증치(腹滿寒疝宿食病脈證治)>에서 "한산(寒疝)은 배꼽 둘레가 아프고 발작하면 저절로 땀이 나고 손발 끝에서부터 팔꿈치와 무릎까지 차가워진다.(寒疝繞臍痛, 若發則自汗出, 手足厥冷.)"라고 하였다. [상한소원집(傷寒溯源集)] 제9권에서는 "논(論)에서 궐(厥), 궐역(厥逆), 사역(四逆), 궐랭(厥冷), 수족한(手足寒), 수족궐한(手足厥寒)이라 한 것은 모두 손발 끝에서부터 팔꿈치와 무릎까지 차가운 증상을 말한다.(論中或云厥, 或云厥逆, 或云四逆, 或曰手足寒, 或曰手足厥寒, 皆指手足厥冷而言也.)"라고 하였다. 이 병증은 한증(寒證)과 열증(熱證)의 구분이 있다. 한증은 양기가 쇠약하여져 음한(陰寒)이 안에서 성(盛)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찬 기운을 두려워하고 하리청곡(下利淸穀)하며 맥이 침미(沈微)한 등의 증상이 늘 수반된다.

이명 ; 수족궐랭(手足厥冷), 수족궐역(手足厥逆), 사지궐역(四肢厥逆)

양방병증 ; 팔다리 냉각 감각

 

임신하혈(妊娠下血)

임신 중의 하혈. [금궤요략(金匱要略)] <부인임신병맥증편(婦人妊娠病脈證篇)>에 "임신인데 밑으로 피를 쏟고, 배 안이 아픈 것은 포조(胞阻)이다. 교애탕(膠艾湯)으로 다스린다.(妊娠下血, 腹中痛, 爲胞阻, 膠艾湯主之.)"라고 하였다.

 

흉민(胸悶)

가슴이 답답한 증. 중초(中焦)에 습열(濕熱)이나 습담(濕痰)이 막히고 사기가 가슴 속을 어지럽혀 일어남.

 

태불안(胎不安)

임신 중에 자주 태(胎)가 움직여 아래로 떨어지는 듯하고 허리가 쑤시고 배가 아프며 음도(陰道)에서 적은 양의 하혈(下血)을 하는 것. 기허(氣虛), 혈허(血虛), 신허(腎虛), 혈열(血熱), 외상(外傷) 등의 원인으로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이 약하여 혈(血)을 고섭(固攝)하여 태(胎)를 기르지 못하여 발생한다

 

===================================================================================

출처 ; 동의방제와 처방해설(東醫方劑와 處方解說)정전(正傳)

편명 ; 사물탕(四物湯)

 

구성약재

감초(甘草): 3.75 g. 굽는다.

당귀(當歸): 3.75 g.

숙지황(熟地黃): 3.75 g.

애엽(艾葉): 3.75 g.

천궁(川芎): 3.75 g.

황기(黃芪): 3.75 g.

아교주(阿膠珠): 3.75 g.

 

조제용법 ; 약재를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하루에 3번 먹는다.

 

주치병증

태루(胎漏)

임신 후 기혈허약(氣血虛弱), 신허(腎虛), 혈열(血熱) 등으로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이 약해져 혈(血)을 고섭하여 태(胎)를 기르지 못해, 음도(陰道)에서 수시로 하혈(下血)이 있는데 양이 적거나 달마다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 누태(漏胎), 포루(胞漏), 누포(漏胞), 수경(漱經)이라고도 함. [의학입문(醫學入門)]에 "아프지 않고 하혈(下血)하는 것이 태루(胎漏)이다.(不痛而下血者爲胎漏.)"라고 하였다

이명 ; 누태(漏胎), 포루(胞漏), 누포(漏胞), 수경(漱經)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애사물탕(膠艾四物湯)   (0) 2016.01.31
교애궁귀탕(膠艾芎歸湯)   (0) 2016.01.31
소교애탕(小膠艾湯)   (0) 2016.01.31
지각탕(枳殼湯)   (0) 2016.01.31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0) 2016.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