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에 우는 증[夜啼] ♣
◈小兒夜啼有四證一曰寒二曰熱三曰口瘡重舌四曰客歑 ◈어린이의 밤에 우는 증에는 4가지가 있다. 첫째는 한증(寒證)이고, 둘째는 열증(熱證)이며, 셋째는 구창(口瘡)과 중설(重舌)이고, 넷째는 객오(客 )이다.
◈寒則腹痛而啼面靑白口有冷氣手足冷腹亦冷曲腰而啼又曰下半夜啼者盖夜則陰盛寒則作痛所以夜半後啼也宜用六神散益黃散(方見下) ◈한증이면 배가 아파서 우는데 얼굴이 푸르면서 희고 입김이 싸늘하며 손발이 차고 배도 차며 허리를 구부리면서 운다. 또는 밤중이 지나서 우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대개 밤이면 음이 성하고 차져서 아프기 때문에 우는 것이다. 이때는 육신산(六神散) 과 익황산(益黃散) (익황산益黃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熱則心燥而啼面赤小便赤口中熱腹煖或有汗仰身而啼又曰上半夜仰身有汗而啼面赤身熱者必痰熱也到曉方息導赤散(方見五藏)加黃芩煎服通心飮(方見上)亦可 ◈열증이면 속이 답답해서 우는데 얼굴이 벌겋고 오줌도 붉으며 입안에 열이 있고 배가 따뜻하다. 혹 땀이 나며 몸을 뒤로 젖히면서 운다. 또는 초저녁에 몸을 뒤로 젖히고 땀이 나면서 울며 얼굴이 붉고 몸에 열이 나는 것은 반드시 담열(痰熱)이 있는 것이므로 새벽에 가서야 멎는다. 이런 때에는 도적산(導赤散) (도적산導赤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에 속썩은풀(황금)을 넣어 달여 먹인다. 통심음(通心飮) (통심음通心飮, 처방은 위에 있다)도 쓴다.
◈口瘡重舌則橪乳不得口到乳上卽啼身額皆微熱急取燈照口若無瘡則舌必重也照口瘡重舌類治之其啼自止 ◈구창과 중설이 있어 젖을 빨지 못하고 젖꼭지를 물리기만 하면 운다. 몸과 이마가 다 약간 더울 때에는 빨리 등불로 입 안을 비쳐 보아 헐지 않았으면 반드시 중설이 있는 것이므로 구창과 중설을 치료하는 방법대로 하면 울음이 저절로 멎는다.
◈客歑者犯客歑夜啼或觸生人氣歑犯而啼有日啼驚夜必黃昏前後尤甚者乃客歑中惡也錢氏安神丸主之(方見下)依客歑法治之 ◈객오로 우는 것은 객오증이 생겨서 밤에 우는 것과 혹 낯선 사람을 접촉하여 기를 받아서 우는데 낮에 울며 밤에 놀라는 일도 있다. 반드시 해질 무렵을 전후로 하여 더욱 심하게 우는 것은 객오와 중악이다. 이런 때에는전씨안신환(錢氏安神丸) (전씨안신환錢氏安神丸,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쓰는데 객오 치료법에 준하여 치료한다.
◈月內夜啼驚紩者乃胎中受驚所致宜用猪乳膏鎭驚散有痰者抱龍丸(方見下) ◈갓 나서 한 달 안으로 밤에 울고 놀라면서 경련이 있는 것은 태중에서 놀랐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저유고(猪乳膏) 진경산(鎭驚散) 을 쓰는 것이 좋다. 담이 있으면
포룡환(抱龍丸) (
◈小兒夜啼作心經有熱有虛治之宜用燈心散黃連飮蟬花散《綱目》 ◈어린이가 밤에 울 때는 심경에 열이 있고 허증이 있는 것으로 보고 치료하여야 하는데 황련음(黃連飮) 선화산(蟬花散) 등을 쓴다[강목].
◈夜啼不止蟬砡二七枚去足爲末入朱砂末一字蜜調送下《綱目》 ◈밤마다 계속 우는 데는 매미허물 (선퇴, 발을 버리고 가루낸다)14개, 주사가루 1g을 넣어 꿀로 반죽한 다음 먹인다[강목].
◈初生月內多啼者吉胎熱胎毒胎驚皆從此散且無奇疾《入門》 ◈갓 나서 한 달 안에 몹시 우는 것은 좋은데 그것은 태열(胎熱), 태독(胎毒), 태경(胎驚)이 모두 울음을 따라 흩어지고 괴상한 병도 없어지기 때문이다[입문].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유고(猪乳膏) (0) | 2016.02.08 |
---|---|
육신산(六神散) (0) | 2016.02.08 |
벽사고( 邪膏) (0) | 2016.02.08 |
황토산(黃土散) (0) | 2016.02.08 |
웅사산(雄麝散) (0) | 2016.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