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심산(燈心散)♣
◈治小兒心燥夜啼燈花三四顆硏細以燈心煎湯調塗口中以乳汁送下日三
◈어린이가 가슴이 답답하여 밤마다 우는 것을 치료한다. 등화 3-4덩이를 잘 갈아서 골풀속살(등심초) 달인 물로 개어 하루 세번씩 입에 발라서 젖을 물려 넘기게 한다.
◈一方燈花七枚鵬砂一字朱砂少許硏細蜜調抹脣上立止《三因》 ◈또 한 가지 처방은 등화 7개, 붕사 1g, 주사 조금을 한데 잘 갈아서 꿀로 갠 다음 입술에 바르면 곧 멎는다[삼인].
◈一名花火膏《正傳》 ◈일명 화화고(花火膏)라고도 한다[정전].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정전(正傳)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일(卷十一) 소아(小兒)
내용 ; 아이가 가슴이 답답하여 밤마다 우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등화(燈花): 3 - 4 덩이(塊).
조제용법 ; 등화 3-4덩이를 잘 갈아서 골풀속살(燈心) 달인 물로 개어 하루 세번씩 입에 발라서 젖을 물려 넘기게 한다.
주치병증 소아야제(小兒夜啼) 아이가 낮에는 정상이나 밤이면 불안해하고 계속 우는 병증. 신기부족(腎氣不足)으로 일어나면 얼굴이 허옇고 눈의 검은자위가 적어짐. 비신허약(脾腎虛弱)으로 일어나면 젖을 먹지 않고, 설사함. 비위허한(脾胃虛寒)으로 일어나면 토사(吐瀉)하고, 잘 먹지 못함. 비기허약(脾氣虛弱)으로 일어나면 잘 먹지 않고, 배가 불러오며, 소화가 안 됨. 그밖에 심혈부족(心血不足), 간혈부족(肝血不足) 및 유모의 정서 불안과 임신중의 편식 등으로 일어남. 한야제(寒夜啼), 열야제(熱夜啼), 구창중설야제(口瘡重舌夜啼), 객오야제(客忤夜啼) 등으로 구분됨.
심조(心躁) 심장(心臟)에 번조가 생김 양방병증 ; 심계항진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화산(蟬花散) (0) | 2016.02.08 |
---|---|
황련음(黃連飮) (0) | 2016.02.08 |
진경산(鎭驚散) (0) | 2016.02.08 |
저유고(猪乳膏) (0) | 2016.02.08 |
육신산(六神散) (0) | 2016.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