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관음산(觀音散)

한들 약초방 2016. 2. 9. 14:57

   

 관음산(觀音散)

 

 

治脾困多瀉不思乳食精神昏困四肢冷欲成慢驚人參一錢蓮肉神麴各二分白茯一分半白朮黃木香白扁豆甘草各一分右入薑二棗一藿香三葉同煎服《入門》

 

() 약해져서 설사를 많이 하고 젖과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으며 정신이 혼곤하고 팔다리가 싸늘하면서 만경풍이 되려고 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4g, 연밥(연실), 약누룩(신국) 각각 0.8g, 흰솔풍령(백복령) 0.6g, 흰삽주(백출), 단너삼(황기), 목향, 까치콩(백편두), 감초 각각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2, 대추 1, 곽향 3잎과 함께 달여 먹인다[입문].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소아문(小兒門) - 태독류(胎毒類) - 비위(脾胃)

 

내용 ; 비(脾)가 약해져서 설사를 많이 하고 젖과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으며, 정신이 흐릿하고 노곤하며, 사지가 싸늘하면서 만경풍(慢驚風)이 되려고 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0.375 g.

목향(木香): 0.375 g.

백출(白朮): 0.375 g.

백편두(白扁豆): 0.375 g.

복령(茯苓): 0.563 g.

신국(神麴): 0.75 g.

연육(蓮肉): 0.75 g.

인삼(人蔘): 3.75 g.

황기(黃芪): 0.375 g.

 

조제용법 ; 생강과 대추를 넣어 끓여 복용한다(薑棗煎服)

 

주치병증

외감풍한(外感風寒)

외부에서 침입한 풍한사(風寒邪)

 

음식내상(飮食內傷)

음식을 무절제하게 먹거나 마셔 비위를 손상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병증.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미천장자산(三味天漿子散)   (0) 2016.02.09
전갈관음산(全蝎觀音散)   (0) 2016.02.09
신효산(神效散)   (0) 2016.02.09
선갈산(蟬蝎散)   (0) 2016.02.09
오갈산(烏蝎散)   (0) 2016.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