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생산(探生散) ♣
◈治急慢驚風諸藥不效用此吹鼻定其死生雄黃沒藥各一錢乳香五分麝香一字右爲末吹少許入鼻如眼淚鼻涕俱出者可治《醫鑑》
◈급경풍과 만경풍을 치료한다. 여러 가지 약이 효과가 없을 때에는 이 약을 코에 불어넣어 죽는가 사는가를 판정한다. 석웅황(웅황), 몰약 각각 4g, 유향 2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코에 조금 불어넣어 만약 눈물과 콧물이 함께 나오면 치료할 수 있다[의감].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의감(醫鑑)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일(卷十一) 소아(小兒)
내용 ; 급,만성의 경풍(驚風)에 다른 약이 효과가 없을 때 쓰는 처방임
구성약재 몰약(沒藥): 3.75 g. 사향(麝香): 0.938 g. 웅황(雄黃): 3.75 g. 유향(乳香): 1.8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코에 조금 불어넣어 만약 눈물과 콧물이 함께 나오면 치료할 수 있다.
주치병증 급경풍(急驚風) 급경풍(急驚風) 내열(內熱)이 치성한 데에 풍사(風邪)를 외감해 심(心)이 열을 받아 경(驚)이 쌓이고 간이 풍을 생성하여 휵닉(搐搦)을 일으킴. 즉 간풍과 심화로 두 장기가 서로 다투어 기혈이 어지럽혀져 담연(痰涎)이 옹성하고 백맥(百脈)이 엉겨 관규(關竅)가 통하지 못하여 풍기가 나갈 데가 없어서 발생함. 원인에 따라 외감경풍(外感驚風), 담열경풍(痰熱驚風), 경공경풍(驚恐驚風)으로 나눔. 장열연조(壯熱涎潮), 찬시(竄視), 각궁반장(角弓反張), 축닉전동(搐搦顚動), 아관긴급(牙關緊急) 등이 따름. 또한 입, 눈, 눈썹, 뺨이 당기고, 입안에서 더운 김이 나고, 눈등과 입술이 붉어지고, 대소변이 황적색을 띠고, 맥이 부(浮), 삽(澁), 홍(洪), (緊)함. 중추신경(中樞神經)의 급성감염증(急性感染症). 양방병증 ; 열성 경련; 경련성장애; 신경계통의 결핵; 뇌염, 척수염 및 뇌척수염; 달리 분류되지 않은 세균성 수막염; 기타 및 상세불명의 원인에 의한 수막염
만경풍(慢驚風) 경풍(驚風)의 하나. 대개 큰 병이나 오랜 병 후에 발생한다. 아이가 허약하면 작은 병으로도 발생한다. 임상에서는 발병이 완만하고 열이 없으며, 추휵(推搐)이 있다가 없다가 하고 늘어져 무력(無力)한 것이 특징이다. 이명 ; 천조풍(天吊風) 양방병증 ; 간헐발작; 뇌의 기타 장애; 수분, 전해질 및 산-염기균형의 기타 장애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비풍(慢脾風) (0) | 2016.02.10 |
---|---|
지성보명단(至聖保命丹) (0) | 2016.02.10 |
탈명산(奪命散) (0) | 2016.02.10 |
주분산(朱粉散) (0) | 2016.02.10 |
성향산(星香散) (0) | 2016.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