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담음자(龍膽飮子) ♣
◈治疳眼流膿神效靑蛤粉蛇脫皮穀精草各五錢羌活草龍膽各三錢麻黃二錢半黃芩炒升麻各二錢鬱金甘草各半錢右末每二錢茶淸調下《綱目》
◈감안으로 고름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청대, 뱀허물(사퇴), 곡정초 각각 20g, 강호리(강활), 초룡담 각각 12g, 마황 10g, 속썩은풀(황금, 닦은 것), 승마 각각 8g, 울금,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차 달인 물에 타 먹인다[강목].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강목(綱目)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일(卷十一) 소아(小兒)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강활(羌活): 11.25 g. 곡정초(穀精草): 18.75 g. 마황(麻黃): 9.375 g. 사태(蛇蛻): 18.75 g. 껍질 승마(升麻): 7.5 g. 울금(鬱金): 1.875 g. 청대(靑黛): 18.75 g. 초용담(草龍膽): 11.25 g. 황금(黃芩): 7.5 g. 볶는다.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7.5g씩 차 달인 물에 타 먹인다.
주치병증 감안(疳眼) 감질(疳疾)때 흰자위와 검은자위가 마르면서 야맹증이 있는 병증. [심시요함(審視搖函)]에서 "감안(疳眼)은 비(脾)가 손상되어 습열(濕熱)이 훈증(薰蒸)하므로 목(木)이 드세지고 토(土)가 쇠하여 풍독(風毒)이 생기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서, 갈증이 나고 설사를 하며, 배에 퍼런 힘줄이 불거져 드러나며, 눈이 칼로 도리듯이 껄끄럽고 가려우며, 아울러 빛을 꺼리고, 때때로 코를 비벼대고 머리카락을 쥐어 뜯는데, 습열로 인하여 벌레가 생기는 것을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되므로 서둘러 먼저 소감산(消疳散)을 복용하고, 잠시 치료가 늦어지면 곧 눈알이 툭 튀어나오므로 노회환(蘆薈丸)을 그 다음에 복용하면 간평비건(肝平脾健)되어 눈동자만이라도 지킬 수 있다.(疳眼傷脾濕熱薰, 木盛土衰風毒生, 渴瀉肚大靑筋露, 目劍澀癢且羞明, 時時揉鼻常撏髮, 濕熱生蟲莫看輕, 急宜先服消疳散, 瞬息延緩成突睛. 蘆薈丸子依序治, 肝平脾健保瞳神.)"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영양장애; 기타 안내염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러 가지 열[諸熱] (0) | 2016.02.12 |
---|---|
치료되지 않는 여러 가지 감병[諸疳不治證] (0) | 2016.02.12 |
자간환(煮肝丸) (0) | 2016.02.12 |
감안(疳眼) (0) | 2016.02.12 |
십미노회환(十味蘆 丸) (0) | 2016.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