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한들 약초방 2016. 2. 12. 10:52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治小兒癖塊水紅花子微炒神麴炒麥芽炒各四錢人參白朮白茯各三錢使君子胡黃連山肉香附子三稜蓬朮醋炒各二錢蘆阿魏靑黛木香檳厚朴陳皮甘草各一錢右將阿魏硏水和打糊和丸菉豆大白湯下三四十丸《回春》

 

어린이의 벽괴(癖塊) 치료한다.

수홍화자(약간 닦은 ), 약누룩(신국, 닦은 ), 보리길금(맥아, 닦은 ) 각각 16g,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12g, 사군자, 호황련, 찔광이(산사), 향부자, 삼릉, 봉출(모두 식초로 축여 볶은 ) 각각 8g, 노회, 아위, 청대, 목향, 빈랑, 후박, 귤껍질(陳皮), 감초 각각 4g.

위의 약에서 먼저 아위를 물에 갈아서 나머지 약들을 가루낸 것과 함께 밀가루를 두고 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40알씩 끓인 물로 먹인다[회춘].

 

==================================================================================

출처 ; 의종금감(醫宗金鑑)(1742년)

편명 ; 편집유과잡병심법요결(編輯幼科雜病心法要訣)-벽질문(癖疾門)

 

구성약재

감초(甘草): 3.75 g.

노회(蘆薈): 3.75 g.

맥아(麥芽): 15 g. 볶는다.

목향(木香): 7.5 g.

백출(白朮): 11.25 g. 흙으로 볶는다.

복령(茯苓): 11.25 g. 볶는다.

빈랑(檳榔): 3.75 g.

사군자(使君子): 7.5 g.

산사육(山楂肉): 7.5 g. 식초로 볶는다.

삼릉(三稜): 7.5 g. 식초로 볶는다.

수홍화자(水紅花子): 15 g.

신국(神麴): 15 g. 볶는다.

아위(阿魏): 3.75 g.

아출(莪朮): 7.5 g.

인삼(人蔘): 11.25 g.

진피(陳皮): 3.75 g.

청대(靑黛): 3.75 g.

향부(香附): 7.5 g. 식초로 볶는다.

호황련(胡黃連): 3.75 g. 껍질을 제거한다.

후박(厚朴): 3.75 g. 생강으로 볶는다.

 

조제용법 ; 가루내어 아위1돈을 백수와 섞어 면을만들어 쳐서 풀로 환을 녹두크기로 만들어 미음으로 아이의 대소에 따라 복용한다(爲細末 將阿魏一錢 白水和麵 打糊爲丸 綠豆大 米飮下量 兒大小服之)

 

주치병증

벽질(癖疾)

소아의 병으로, 어른의 적취(積聚)에 해당됨. 음식내상(飮食內傷)으로 담(痰)이 몰리거나, 한열실조(寒熱失調)로 정기(正氣)가 허하고 사기(邪氣)가 맺혀 생김. 옆구리 아래에 덩어리가 생겨 때때로 아픔.

양방병증 ; 옆구리 종양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