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건골산(健骨散)

한들 약초방 2016. 2. 13. 09:39

 

 건골산(健骨散)

 

 

治頭軟頭不能正也頂軟者天柱骨倒也白蠶炒爲末每服五分或一錢薄荷泡酒調下日三《綱目》

 

두연(頭軟)이란 머리를 바로 들지 못하는 것이고 항연(項軟)이란 [天柱骨] 기울어지는 것인데 이것을 치료한다.

백강잠(닦은 ).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2-4g 하루 세번 박하를 우린 술에 먹는다[강목].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강목(綱目)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일(卷十一) 소아(小兒)

 

내용 ; 머리가 바르지 못하거나 머리를 가누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박하(薄荷):

백강잠(白殭蠶):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875g-3.75g씩 하루에 세번 박하를 우린 술에 타 먹는다.

 

효능 ; 두연(頭軟)이란 머리를 바로 들지 못하는 것이고 항연(項軟)이란 목[天柱骨]이 기울어지는 것인데 이것을 치료한다

 

주치병증

두연(頭軟)

오연(五軟)의 하나. 머리를 가누지 못하는 병증. 머리는 모든 양기(陽氣)가 모이는 곳인데, 어린아이가 선천적으로 태품(胎禀)이 부족하고 신(腎)의 양(陽)이 허하여 골수가 약한데다가 후천적인 영양불량으로 비(脾)의 청양(淸陽)이 불승(不升)하면 머리를 제대로 가누지 못하게 된다.

 

항연(項軟)

오연(五軟)의 하나. 경추(頸椎)가 연약해 힘이 없는 것. 오장의 기가 허약하여 자양분을 충분히 골맥(骨脈)에 이르게 하지 못하여 일어남. 지체가 허약하고, 목에 힘이 없어 머리를 들어 가누지 못함.

이명 ; 두항연(頭項軟)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십이(卷第十二) 항연(項軟)

 

내용 ; 머리가 바르지 못하거나 머리를 가누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백강잠(白殭蠶):

 

조제용법 ; 백강잠(白僵蠶)을 가루 내어 3세는 1.875g을 박하주로 삼킨다.

 

주치병증

체허불식(體虛不食)

몸이 허해 기력이 없고 음식을 못먹는 병증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이환(薏苡丸)   (0) 2016.02.13
생근산(生筋散)   (0) 2016.02.13
5연과 5경[五軟五硬]   (0) 2016.02.13
탑기환( 氣丸)   (0) 2016.02.12
안충산(安蟲散)   (0) 2016.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