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충(蠱蟲) ♣고충(蠱蟲) ♣ ◈고독(蠱毒)을 앓을 때 이 벌레를 태워 가루내어 먹으면 곧 낫는다. ◈ 고독을 앓는 사람의 9규(竅)로 고충이 나올 수 있는데 이런 때에 이것을 잡아서 햇볕에 말려 쓴다[본초].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활사(活師, 올챙이) ♣활사(活師, 올챙이) ♣ ◈열창과 옴이나 버짐에 쓰는데 짓찧어 바른다. 이것이 바로 개구리의 새끼이다. ◈ 물에서 사는데 꼬리가 있다. 점점 크면서 다리가 생기고 꼬리가 없어진다[본초].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의어(衣魚, 옷좀) ♣의어(衣魚, 옷좀) ♣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짜며[ ]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부인의 산가(疝 )와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 어린이가 중풍으로 목이 뻣뻣해진 것, 임병을 치료하는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그리고 유산하게 하며 헌데의 흠집을 없앤다. ◈ 일명 벽어(壁魚)..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서부(鼠婦) 쥐며느리 ♣서부(鼠婦) 쥐며느리♣ ◈성질이 따뜻하고[溫](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시며[酸]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기(氣)로 생긴 임병으로 오줌을 누지 못하는 것과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 혈가(血 )를 치료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유산하게 한다. ◈ 또한 습생충(濕生蟲)이라..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형화(螢火, 반딧불) ♣형화(螢火, 반딧불) ♣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눈을 밝게 하고 청맹과니[靑盲]와 고독, 귀주를 치료하며 정신이 좋아지게 한다. ◈ 일명 야광(夜光)이라고도 하는데 썩은 풀 속에서 생겨난다. 대서 전후에 많이 날아다닌다. 이것은 여름의 더운 기운을 ..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청령( , 잠자리) ♣청령( , 잠자리) ♣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서늘하다[ ]고도 한다) 독이 없다. 양기를 세지게 하고 신[水]을 덥게 하며 유정을 멈춘다. ◈ 일명 청정( ), 청랑자(靑娘子)라고도 한다. 발이 6개이고 날개가 4개인데 시냇가나 도랑에 잘 날아다닌다. 음력 5-6월에 잡아서 말려 날개와 발을 버..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천산갑(穿山甲) ♣천산갑(穿山甲) ♣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독이 있다. 5가지 사기와 귀매, 놀라서 몹시 우는 증, 어린이가 놀라는 증, 산람(山嵐), 장학( ), 치루(痔瘻), 악창 등을 치료한다. ◈ 일명 능리갑( 鯉甲)이라고도 하는데 땅을 파내기 좋아하기 때문에 천산갑이라고도 한다. 생김새는 잉어(이..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