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공(蜈蚣, 지네) ♣오공(蜈蚣, 지네) ♣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있다. 귀주(鬼 ), 고독, 사매(邪魅)와 뱀독을 치료하고 헛것을 없애며 3충(三蟲)을 죽이고 온학(溫 )과 명치 아래와 배에 뭉친 징벽( 癖)을 낫게 하고 유산시키며 궂은 피[惡血]를 나가게 한다. ◈ 흙이나 돌사이[石間], 썩은..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구인시( 蚓屎) ♣구인시( 蚓屎) ♣ ◈인루(蚓 ), 또는 육일니(六一泥)라고 하는데 부추밭에 있는 것이 좋다. 미친 개한테 물려서 난 헌데와 모든 악창을 치료한다[본초].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구인( 蚓, 지렁이) ♣구인( 蚓, 지렁이) ♣ ◈성질이 차고[寒] 맛이 짜며[ ] 독이 없다(독이 약간 있다고도 한다). ◈ 사가(蛇 )와 고독을 치료하고 3충을 없애며 회충을 죽인다. [註] 사가(蛇 ) : 식적과 충적으로 배에 뱀 비슷한 징가가 생겨서 때로 가슴으로 치밀어 올라 답답하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증. 상한 ..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벽전(壁錢, 납거미) ♣벽전(壁錢, 납거미) ♣ ◈성질이 평(平)하고 독이 없다. 코피가 나오거나 쇠붙이에 다쳐서 피가 멎지 않고 나올 때에 즙을 내어 바른다. ◈ 납거미의 거미줄로는 어린이가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 말거미와 비슷한데 벽틈에서 산다. 거미줄을 친 형태는 돈잎 같고 흰 막처럼 보인다. 일..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반지주(斑蜘蛛, 얼룩거미) ♣반지주(斑蜘蛛, 얼룩거미) ♣ ◈성질이 차고[冷] 독은 없다. 학질과 정종(丁腫)을 치료하는데 쓰는 방법은 말거미와 같다. ◈말거미보다 작고 빛이 얼룩얼룩하다[본초].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지주망(蜘蛛網, 거미줄) ♣지주망(蜘蛛網, 거미줄) ♣ ◈잘 잊어버리는 것을 치료한다. 음력 7월 7일에 걷어서[取] 옷깃에 넣는다. ◈ 거미줄로 무사마귀를 잡아매면 사마귀가 저절로 말라서 떨어진다[본초].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지주(蜘蛛, 말거미) ♣지주(蜘蛛, 말거미) ♣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독이 있다. 어른과 어린이에게 생긴 퇴산( 疝)과 배가 커진 정해감[丁奚]을 치료하며 벌, 뱀, 왕지네(오공)의 독을 푼다. 공중에 둥그렇게 그물을 친다. 몸둥이는 작고 엉치와 배가 크다. 빛이 짙은 잿빛이고 뱃속에 푸르누르스름한 고름 ..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동의보감 탕액편~탕액서례(湯液序例) 동의보감 탕액편~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채취하는 방법[採藥法] 약을 말리는 방법[乾藥法] 세가지 품질[三品]의 약성[藥性] 오랫동안 둬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制藥方法]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7..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 ◈凡漬藥酒皆須細切生絹袋盛之乃入酒密封經春五夏三秋七冬十日視其濃烈便可帪出取淸服之滓可暴燥爲㵋末更漬飮之《本草》 ◈술에 약을 담글 때에는 다 잘게 썰어서 비단주머니에 넣어 가지고 담근 다음 잘 막아서 봄에는 5일, 여름에는 ..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不見火藥]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不見火藥] ♣ ◈桑寄生勿令見火 ◈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는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한다. ◈檳峹勿經火恐無力若熟使不如不用 ◈ 빈랑도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약 기운이 없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것을 법제하..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