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증약은 변화시켜 무성하게 한다[濕化成] ♣
◈其兼氣溫凉寒熱以胃應之其味甘辛鹹苦以脾應之 ◈약의 성질은 따뜻한 것, 서늘한 것, 찬 것, 열한 것이 있는데 다 같이 위(胃)에 작용한다. 그리고 맛에는 단것, 매운 것, 짠 것, 쓴 것이 있는데 다 같이 비(脾)에 작용한다.
◈黃妉人參甘草當歸熟地黃半夏蒼朮白朮陳皮靑皮藿香檳峹蓬朮三稜阿膠訶子杏仁桃仁麥芽紫草蘇木《東垣》 ◈단너삼, 인삼, 감초, 당귀, 찐지황, 끼무릇, 삽주, 흰삽주, 귤껍질, 선귤껍질, 곽향, 빈랑, 봉출, 삼릉, 갖풀, 가자, 살구씨, 봉숭아씨, 보리길금, 지치, 소목 같은 것이 그런 약이다[동원]. |
'^*^동의보감^*^ > 동의보감탕액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증약은 가라앉으며 엉키게 한다[寒沈藏] (0) | 2016.02.17 |
---|---|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燥降收] (0) | 2016.02.17 |
열증약은 뜨며 자라게 한다[熱浮長] (0) | 2016.02.17 |
풍증약은 떠오르고 생겨나게 한다[風升生] (0) | 2016.02.17 |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0) | 2016.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