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 ♣
◈治陰虛火動睡中盜汗午後發熱咳嗽痰盛卋唾血飮食少思肌肉消瘦將成勞瓌白芍藥一錢三分當歸一錢二分熟地黃麥門冬白朮各一錢生地黃酒炒八分陳皮七分知母黃栢拄鹽水炒甘草灸各五分右犫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回春》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한 데로부터 잘 때 식은땀이 나며 오후에 열이 나고 기침하며 가래가 많고 피를 토하거나 뱉으며 음식맛이 덜 나며 살이 여위면서 노채(勞 )가 되려는 것을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5.2g, 당귀 4.8g, 찐지황(숙지황), 맥문동, 흰삽주(백출) 각각 4g, 생지황(술에 축여 볶은 것) 3.2g, 귤껍질(陳皮) 2.8g, 지모, 황백(다 소금물로 축여 볶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회춘].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외집권3(外集卷三), 통용고방시괄(通用古方詩括), 잡병(雜病)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맥문동(麥門冬): 1.875 g.
당귀(當歸): 3.75 g. 백작약(白芍藥): 3.75 g.
백출(白朮): 3.75 g. 생지황(生地黃): 3.75 g.
원지(遠志): 2.25 g. 지모(知母): 2.25 g.
진피(陳皮): 2.25 g. 천궁(川芎): 2.25 g.
황백(黃柏): 2.25 g.
조제용법 ; 생강을 끓여 따뜻하게 복용한다(姜煎溫服 )
주치병증
신허(腎虛)
과로, 무절제한 성생활, 또는 오랜 병으로 휴손(虧損)되어 발생하는 병증. [소문(素問)] <장기법시론(臟氣法時論)>에서 "신병(腎病)이 든 자는 배가 커지고, 정강이가 붓고, 천해(喘咳)하며, 몸이 무겁고, 도한(盜汗)을 흘리고, 바람을 매우 싫어하며, 허(虛)하면 흉중(胸中)에 통증(痛症)이 있고, 대복(大腹)과 소복(小腹)이 아프고, 궐랭(厥冷)하며, 생각이 낙천적이지 못하다.(腎病者, 腹大脛腫, 喘咳身重, 寢汗出憎風, 虛則胸中痛, 大腹小腹痛, 淸厥意不樂.)"라고 하였다.
이명 ; 신휴(腎虧)
음허화동(陰虛火動)
음정(陰精)이 휴손되어 허열(虛熱)이 매우 심한 병증. 증상으로는 번조이노(煩躁易怒), 양관조홍(兩顴潮紅), 구건인통(口乾咽痛), 성욕항진(性欲亢進) 등이 나타난다.
이명 ; 음허양항(陰虛陽亢), 음허화왕(陰虛火旺), 음허화성(陰虛火盛)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