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초(甘草): 75 g. 대조(大棗): 15 개.
마황(麻黃): 225 g. 반하(半夏): 150 g.
생강(生薑): 112.5 g. 석고(石膏): 150 g.
조제용법 ; 물로 마황을 먼저 달여 위의 거품을 걷어 낸 뒤에 나머지 약재를 달인다. 3번 따뜻하게 복용한다(上六味, 以水六升, 先煮麻黃, 去上沫, 內諸藥, 煮取三升, 分溫三服)
주치병증
폐창(肺脹)
창병(脹病)의 하나. 폐천해(肺喘咳)라고도 함. [금궤요략(金匱要略)] <폐위폐옹해수상기병맥증치(肺痿肺癰咳嗽上氣病脈證治)>에서 "기침을 하면서 상기되는 것이 폐창(肺脹)이다. 환자가 숨이 가쁘고 눈이 빠질 것 같으며 맥이 부대(浮大)하면 월비가반하탕(越婢加半夏湯)으로 치료한다.(咳而上氣, 此爲肺脹, 其人喘, 目如脫狀, 脈浮大者 越婢加半夏湯主之.)" "폐창으로 기침이 나면서 상기(上氣)되고 번조(煩躁)하면서 숨이 가쁘고 맥이 부(浮)한 경우는 가슴 아래에 수(水)가 있는 것이므로 소청룡가석고탕(小靑龍加石膏湯)으로 치료한다.(肺脹, 咳而上氣, 煩躁而喘, 脈浮者, 心下有水, 小靑龍如石膏湯主之.)"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천식; 폐기종; 폐부종; 그렁거림; 쌕쌕거림; 호흡곤란; 주기성 호흡; 기관지확장증; 천식지속 상태; 급성 세기관지염;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 성인성 호흡곤란 증후군; 기타 만성 폐쇄성 폐질환; 상세불명의 호흡기능상실; 폐렴사슬알균에 의한 폐렴; 달리 분류되지 않은 세균성 폐렴;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의한 폐렴; 달리 분류되지 않은 바이러스성 폐렴; 바이러스가 확인되지 않은 인플루엔자; 확인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인플루엔자;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감염성 병원체에 의한 폐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