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골지안신원(補骨脂安腎元)♣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오(卷五) 해수(咳嗽)
내용 ; 기침이 몹시 나면 모든 뼈마디가 땅기며 기(氣)가 배꼽 아래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는 것같이 느껴지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조제용법 ; 약들을 가루내어 환으로 만든다.
구성약재
주치병증
신허요통(腎虛腰痛)
요통(腰痛)의 하나. 무절제한 방사(房事)와 과로로 신장(腎臟)의 정기(精氣)를 손상시킴으로써 발생한다. [금궤익(金匱翼)] <요통(腰痛)>에 "신허요통(腎虛腰痛)은 정기가 부족하여 족소음(足少陰)의 기가 쇠약하여졌기 때문이다. 몸이 마르고 기력이 없으며 걷거나 설 때 몸을 가누지 못하는데 누워서 쉬면 조금 괜찮아진다. 그다지 심한 통증은 없으나 은근히 오랫동안 아프고, 여러 번 발생하며 낫지 않는다.(腎虛腰痛者, 精氣不足, 足少陰氣衰也. ……其症形羸氣少, 行立不支, 而臥息少可. 無甚大痛, 而悠悠戚戚, 屢發不已.)"라고 하였다.
이명 ; 신경요통(腎經腰痛)
양방병증 ; 요통
관련약재
귀교(龜膠); 남생이
귀판교(龜板膠); 남생이
납피석(蠟皮蜥); 매끈비늘아가마
녹곽(鹿藿); 돌콩
녹수초(鹿壽草); 노루발풀
녹신(鹿腎); 매화록(梅花鹿), 왜사슴, 화록
녹신(鹿腎); 붉은사슴, 마녹(馬鹿), 큰사슴, 느리
담채(淡菜); 참담치, 홍합
담채(淡菜); 진주담치
담채(淡菜); 참담치, 홍합
담채(淡菜); 털담치
도두(刀豆); 작두콩
두중(杜仲); 두충
북회향(北茴香); 회향
사선목(思仙木); 두충
=======================================================
한습요통(寒濕腰痛)
한습사가 경락을 막아서 기혈이 잘 통하지 못해 일어나는 요통. 허리가 시리고 아프며 무거워 돌리기가 어렵고, 따뜻이 하면 통증이 덜하고 차게 하면 더함. 다리가 차고 등이 뻣뻣하면 한(寒)에 의해서이고, 흐린 날이면 증상이 더해지는 것은 습(濕)에 의해서임. 구갈은 없고, 대소변도 잘 나오며, 식사도 보통 때와 같음. 맥은침(沈), 긴(緊)함.
===================================================
보골지환(補骨脂丸)
구성약재
두중(杜仲): 150 g. 볶아서 실처럼 나오는 것을 제거한다.
보골지(補骨脂): 112.5 g. 향기가 날 때까지 볶는다.
비해(萆薢): 150 g. 어린아이 오줌, 쌀뜬물, 소금물, 술에 각 37.5g씩 담가둔다.
호도육(胡桃肉): 300 g. 물에 담가 기름기를 제거한 뒤 진흙처럼 갈아둔다.
조제용법 ; 호도육을 제외한 나머지 약재들을 곱게 가루낸 뒤 호도육을 섞어서 나무절구에 넣고 1000번 정도 찧어 찹쌀풀(가을 겨울철에는 연밀(煉蜜))로 반죽하여 오동나무씨 크기로 환을 만든다. 매번 50환씩 공복에 따뜻한 술과 함께 복용한 뒤 말린 음식을 먹어서 약기운을 누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