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일기산(一奇散)

한들 약초방 2016. 4. 27. 16:12

 일기산(一奇散)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卷十) 부인(婦人) 

 

내용 ; 출산 후에 혈(血)이 허(虛)해서 생긴 두통(頭痛)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형개수(荊芥穗) 

 

조제용법 ; 즉 궁귀탕(芎歸湯), 궁귀탕에 형개수 7.5g을 넣어 같이 달여 복용한다.

 

주치병증

산후두통(産後頭痛)

산후의 두통. 산후에 오장이 모두 허하여 위기(胃氣)도 휴손(虧損)되고 식사량이 충분하지 못하여 곡기(穀氣)도 부족해 양기(陽氣)가 제자리를 지키지 못하고 올라가 머리에 모이니 양실음허(陽實陰虛)가 되어 발생함. 또 산후에 패혈(敗血)이 상충(上衝)해도 생김. 두통이 났다가 멎었다가 하고 미릉골(眉棱骨)까지 당기며 아프면 외감풍한(外感風寒)에 속함. 산후에 혈이 허하여 생기면 아침에는 증상이 가볍다가 해질 무렵에 더하고 때로 멎었다가 다시 반복됨. 산후혈허로 허화(虛火)가 타오르면 구역질이 나서 음식을 먹지 못함.

양방병증 ; 산후 두통

 

===================================================================================

출처 ; 의방집해(醫方集解)(1692년)

 

내용 ; 출산 후에 혈(血)이 허(虛)해서 생긴 두통(頭痛)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당귀(當歸):

천궁(川芎):

 

조제용법 ; 약들을 가루내어 사용한다.

 

주치병증

산후혈허(産後血虛)

산후에 혈허한 것. 혈허(血虛)는 혈이 허하거나 부족해서 생긴 병증.

 

태동하혈(胎動下血)

임신부가 복통이 있고 태동(胎動)을 느끼며 음도(陰道)에 하혈(下血)이 있는 것. 초기에는 심하지 않다가 점차 심해 하혈량이 많아지면 유산될 수도 있다

이명 ; 태동출혈(胎動出血)

 

혈허두통(血虛頭痛)

혈허로 생긴 두통. 변혈(便血), 육혈(衄血), 산후붕루(産後崩漏) 등 실혈로 피가 부족해 머리를 자양하지 못해서 생김. 눈썹에서 이마 모서리에 걸쳐 당기면서 아프고, 가끔 잘 놀라고, 또는 머리가 은근히 아프고 어지러우며, 눈이 침침하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얼굴이 창백하고, 설질이 담백하고. 맥은 규(芤)함.

'^*^동의보감^*^ > 동의보감 예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  (0) 2016.04.27
소마죽(蘇麻粥)  (0) 2016.04.27
사미산(四味散)  (0) 2016.04.27
삼금탕(三禁湯)  (0) 2016.04.27
대전자소음(大全紫蘇飮)  (0) 2016.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