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금탕(三禁湯)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이(卷二) 한(寒)
내용 ; 소양병(少陽病)의 반표반리(半表半裏) 증상으로 왕래한열(往來寒熱)한 것을 치료하고 내열(內熱)을 화해(和解)시키며 외사(外邪)를 풀어주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반하(半夏): 3.75 g. 시호(柴胡): 11.25 g. 인삼(人蔘): 3.75 g. 황금(黃芩): 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한첩으로 하여 생강 3편, 대추 2알과 함께 물로 달인후 먹는다.
주치병증 잉부상한(孕婦傷寒) 임신 중의 상한(傷寒). 겨울에 몹시 추운 때에 몸이 허(虛)하여 한사(寒邪)에 상(傷)하면 병이 생겨 곧 상한이 된다. 가벼운 때에는 오싹오싹 춥다가 후끈후끈 열이 나며 기침이 약간 나고 코가 막히는데 며칠 지나면 낫는다. 그러나 심하면 머리와 몸이 아프면서 먼저 춥다가 나중에 열이 난다. 오랫동안 낫지 않으면 유산된다. 이명 ; 임신상한(妊娠傷寒)
보혈(補血) 혈을 보(補)하는 것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외집(外集)-한토하삼화해온보총방(汗吐下滲和解溫補總方)-화해(和解)
내용 ; 소양병(少陽病)의 반표반리(半表半裏) 증상으로 왕래한열(往來寒熱)한 것을 치료하고 내열(內熱)을 화해(和解)시키며 외사(外邪)를 풀어주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대조(大棗): 2 매(枚). 반하(半夏): 3.75 g. 생강(生薑): 3 조각(片). 시호(柴胡): 11.25 g. 인삼(人蔘): 3.75 g. 황금(黃芩): 7.5 g.
조제용법 ; 약들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
금기사항 ; 만약 목마름으로 인해 물을 마시는 자와 열이 없는 자는 복용을 금지한다(若因渴欲飮水者 要知無熱證者 不可服)
주치병증 경통(莖痛) 음경(陰莖)의 통증. [영추(靈樞)] <오색(五色)>에서 "음경을 에워싸면 경통이 생긴다.(其圜直爲莖痛.)"라고 하였다.
과경불해(過經不解) 상한 때 다른 경맥으로 전경할 날짜가 지났는데도 병이 낫지 않는 것. 상한 전경은 발열한 지 7일, 열이 없으면 6일을 주기로 하는데, 태양병(太陽病)이 6일 또는 7일 이상 된 것을 과경이라 함. 즉 상한을 앓은 지 6-7일이 되어도 낫지 않는 것을 말함.
근맥구급(筋脈拘急) 팔다리와 몸의 근맥(筋脈)이 오그라들면서 땅겨 펴고 굽힘이 순조롭지 못한 것을 말함. 양방병증 ; 근육긴장증, 근강직증
기체이수(肌體羸瘦) 몸이 여위는 것. 이명 ; 기육이수(肌肉羸瘦), 기수(肌瘦)
두통항강(頭痛項强) 머리가 아프고 목 뒤가 뻣뻣한 것을 말함. 양방병증 ; 두통; 경부 강직
번민(煩悶) 마음속으로 안타까워 괴로워하는 것을 말함.[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제2권에 나옴. 양방병증 ; 가슴앓이
상한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태양경(太陽經; 表를 다스림)과 양명경(陽明經; 裏를 다스림) 사이에 있는 소양경(少陽經; 半表半裏를 다스림)의 병이라고 하여 붙인 이름. 이명 ; 소양병(少陽病).
신동(身疼) 몸이 아픈 것 양방병증 ; 통증
열증(熱證) 팔강(八綱)의 하나로 양기(陽氣)가 음기(陰氣)보다 항성(亢盛)하거나 열사(熱邪)가 성행하여 발생하는 병증. 신열(身熱), 오열(惡熱), 번조(煩躁), 구갈희랭음(口渴喜冷飮), 소변단적(小便短赤), 대변비결(大便秘結), 면색적(面色赤), 설질홍(舌質紅), 태건황(苔乾黃), 혹 건흑(乾黑), 맥삭(脈數)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표열증(表熱證), 이열증(裏熱證), 허열증(虛熱證), 실열증(實熱證)의 구분이 있다.
이롱(耳聾) 소리를 듣지 못하는 증상. 환자 자신의 느낌이나 검사상에서 모두 청각기능에 어느 정도의 장애가 나타나는 것. [영추(靈樞)] <결기(決氣)>에서 "정(精)이 빠져나간 자는 귀가 먹는다.(精脫者, 耳聾.)"라고 하였다. 이명 ; 간화이롱(肝火耳聾), 구롱(久聾), 규폐(竅閉), 기폐(氣閉), 담화이롱(痰火耳聾), 사폐(邪閉), 폭롱(暴聾), 풍열이롱(風熱耳聾), 허폐(虛閉), 화폐(火閉). 양방병증 ; 난청
이종통(耳腫痛) 귀가 붓는 병증. 귀가 부어 오르고 아픈 것. 간담(肝膽)과 삼초(三焦)의 풍열(風熱)이 위로 치받아 일어난다. 아프거나 고름이 흐르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명 ; 이종(耳腫)
잡병(雜病) (1) [영추(靈樞)]의 편명. 이 편에서는 주로 경기궐역(經氣厥逆)으로 발생하는 병증과 각종 심장병 및 합병증의 자법(刺法)을 논술했으며, 이 밖에도 후비(喉痺), 학질(瘧疾), 슬통(膝痛), 애역(呃逆), 대소변 불통 등의 병증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논한 범위가 넓고 병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잡병이라 했다. 2) 후한(後漢) 장중경(張仲景)의 [상한잡병론(傷寒雜病論)]에서는 상한 이외의 여러 과의 병증(주로 내과병증)을 통틀어서 잡병이라 했는데, 근대에 말하는 잡병은 주로 상한과 온병(溫病) 이외의 내과 병증을 말한다.
한열왕래(寒熱往來) 갑자기 춥다가 갑자기 열이 나는 증상. 정기(正氣)와 사기(邪氣)의 다툼으로 일어남. 오한 때는 열이 없고, 열이 나면 오한이 없음. 양이 허하면 오한 뒤에 열이 나고, 음이 허하면 열이 난 뒤에 오한함. 대개 구고(口苦), 인건(咽乾), 목현(目眩), 흉협창만(胸脇脹滿), 맥허(脈虛) 등이 따르고 소양경증(少陽經證)에 나타남.
협통(脇痛) 옆구리의 동통. 협륵(脇肋)은 족궐음(足厥陰), 족소양경(足少陽經)이 순행하는 곳이므로 간담(肝膽)의 질환과 관계가 깊음. 대개 칠정, 육음(七情六淫)의 침범이나 음식, 노동으로 상하여 담응(痰凝)과 기취(氣聚)로 혈이 쌓여 적(積)이 되고 혈맥과 근골로 지나면서 사(邪)를 껴서 통증이 일어남. 왼쪽은 간화(肝火)와 기(氣) 혹은 어혈(瘀血)이며, 오른쪽은 비화(脾火) 혹은 담(痰)과 식적(食積)임. 살진 사람이 앓으면 기천발열(氣喘發熱)하고, 여윈 사람은 음허(陰虛)로 한열(寒熱)이 있음. 만약 성을 잘 내면 어혈이 있는 것임. 협하(脇下)에 식적한담(食積寒痰)이 있으면 송곳으로 찌르는 듯이 아파 손을 대지 못함. 한기(寒氣)가 있으면 옆구리가 당기며 아픔. 상한(傷寒)으로 아픈 게 아니면 몸에 미열이 있고, 내상(內傷)으로 인한 것이면 그치지 않고 아픔. 기허(氣虛)면 맥이 현긴(弦緊)함. 대개 노역과 노기(怒氣)로 인함. 담낭염(膽囊炎), 늑막염(肋膜炎) 등에 보인다.
흉격비만(胸膈痞滿) 흉격에 비증이 생겨 그득함 |
'^*^동의보감^*^ > 동의보감 예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기산(一奇散) (0) | 2016.04.27 |
---|---|
사미산(四味散) (0) | 2016.04.27 |
대전자소음(大全紫蘇飮) (0) | 2016.04.26 |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0) | 2016.04.26 |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0) | 2016.04.26 |